[김단테] 'AI(인공지능)'의 방향성 (노정석 대표)
2025. 2. 11. 10:4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기술은 발전할 것이고 연산능력은 늘어나고 싸질 것이고
인재풀도 늘어날 것이고 엔지니어링도 자동화될 것이고
남은 차별점은? 문제 정의.
좋은 인재를 가지고 문제에 집중하는 단위조직.
AI는 AI로 해결.
AI 엔지니어 숫자도 극단적으로 늘림(=교육 사업)
개별 인더스트리보다는 AI PM을 양성(=교육 사업)
돈 버는 영역은 2가지.
1. 버티컬 인티그레이션.
(밸류체인+AI, 독점적 데이터)
2. 컴퓨테이션 인프라를 통한 AGI API 공급.
데이터, 테크(알고리즘), 서비스 → 서비스(=데이터), 알고리즘, 컴퓨팅.
인류사를 놓고 보면 컴퓨테이션.
즉, 연산속도가 지수적으로 증가함.
이 속도면 조만간 인간의 뇌에 접근한다!.
<< 특이점이 온다! >> - 레이 커즈웨일.
컴퓨테이션을 계속 투입하면 '도구'가 아닌 '지능'이 될 것.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인간 VS 원숭이.
(지금부터 공부를 해야한다!)
차별화된 서비스 X AI.
ex) 테슬라 서비스(전기차) X AI(운영체제, 자율주행) = 수직통합.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단테] 인공지능 시대에 일반인들은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 (0) | 2025.02.11 |
---|---|
[김단테] 테슬라 투자를 한 이유 (AI 스타트업 비팩토리 노정석 대표님) (0) | 2025.02.11 |
[김단테] 구글은 뭐하는 회사일까? (에릭 슈미트) (0) | 2025.02.11 |
[김단테] 엔젤 투자를 하다가 창업에 다시 뛰어든 이유 (0) | 2025.02.11 |
[김단테] AI 투자? AI의 창업기회? (AI 스타트업 비팩토리 노정석 대표님)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