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샤넬도 힘들다! 명품 끊은 2030

2025. 2. 1. 14:32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샤넬조차도 예전 같지 않음.

매출 성장률이 거의 안 나와서 실질적으로 마이너스임.

한국만 이런 것이 아니고 전세계 현상.

시장 규모가 20년동안 3배 성장.

(오래된 산업치고는 잘 큰 편)

 

전 세계에서 10년 동안 억만장자가 50%가 넘게 늘었음.

부자 = 명품 수요.

중국에 부자가 늘면서 명품 시장을 주도해 왔음.

(중국인들은 해외여행을 다니면서 닥치는 대로 구입)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 19 때 잠깐 꺾였던 명품 시장.

(초대형 사고는 터져야 꺾이는 시장)

그런데 지금 꺾이고 있음.

 

재고 문제.

증산을 엄청했는데 창고에 쌓여버림.

명품은 할인을 때려서 악성 재고를 털 수도 없음.

(폐기를 해버림)

초과 공급이 나오면 소각 = 희소성 유지.

요즘은 폐기하기도 어려움.

 

중국이 왜 이렇게 안 좋냐?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 70%.

(+ 청년들이 명품을 사지 않기 시작해 버림)

청년들은 경제적으로 안정화가 되지 않아서 경기 변동 영향을 받음.

 

+ 명품 업계가 가격을 너무 올려버림.

문제는 품질(가치)도 같이 올랐는가?

물가가 오른 탓을 하기에는 명품에 원가율이 높지 않음.

 

[양극화 : 고가가 아닌 초고가만 살아남는 시장]

그런데 극소수 초고가 명품은 잘 되고 있음.

(에르메스, 브루넬로 쿠치넬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