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월가월부] 52주 신고가 갈아치운 가구회사 RH
2025. 1. 31. 10:51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인플레이션 = 미국 소비자의 선택적 지갑 오픈.
얇아진 지갑 사정에 고가의 제품 대신 저렴한 제품 선택.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제품에는 지출하지 않음)
기업 = 가격 경쟁력이 중요.
고급 가구업체의 주가 상승 = 수요 증가.
단순히 가구를 판매하는 매장을 넘어서 고급스러운 공간(+경험)을 보여줌.
(공간에 대한 소비욕구 자극)
'조명' 등으로 공간을 판다는 느낌을 줌.
갤러리는 단순 판매장소가 아니라 어떤 공간에 대한 경험.
(추구하는 럭셔리 라이프 자체)
'럭셔리는 산을 오르는 것이다!'
레스토랑도 있는데 가구들로 채워져있음.
(고객을 모으는 장치 이상의 하나의 쇼룸)
고객의 95%가 멤버십.
연회비 200달러를 내면 25% 할인을 받을 수 있음.
(가격을 고려하면 약 400달러 이상만 사면 이득)
추구하는 이미지를 소비.
샹들리에가 상징적인 인테리어 중 하나.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카월드] 요즘 분위기에 AI 700조 원 투자 잘될까? (0) | 2025.01.31 |
---|---|
[매경월가월부] 딥시크는 그 존재의 등장만으로 패러다임의 중대한 전환 (0) | 2025.01.31 |
[매경월가월부] 중산층을 잡기 위한 럭셔리 시장의 경쟁 (0) | 2025.01.30 |
[매경월가월부] 중고 럭셔리 플랫폼은 성공할 수 있을까 (0) | 2025.01.30 |
[비치키] 정신연령이 높아 보이는 2가지 방법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