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연의탐구생활] 한국인은 왜 '비교'하길 좋아할까?

2024. 10. 6. 18:45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한국 사회가 서로에 대한 관심이 제일 많은 사회임.

타인에 대한 관심 = 인간의 본성.

카우 클릭커라는 게임.

소 얼굴을 클릭하는 것일 뿐인데 친구 초대 수만큼 클릿 횟수가 늘어남.

의외로 이 게임이 대박이 남.

돈 안 보내면 게임을 접겠다고하니 돈까지 보냄.

인맥 플렉스의 상징.

 

Social Validation.

(내 존재, 성과, 소유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승인)

 

왜 비슷한 사람들끼리 질투를 느낄까?

고맥락 사회 / 저맥락 사회.

 

Keeping up with Joneses Syndrome.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여 자신의 삶의 질이나

자산, 성과 등을 뒤처지지 않게 노력하는 자세.

 

1950~60년대 Middle class crunch.

부자 VS 중산층.

1950년대 경제 발전으로 상향평준화됨.

모든 사람의 '라이프 스타일'이 비슷해지니 '비교'가 가능해짐.

가치 = 상대적.

뇌에서 가치 평가를 할 때는 주변과 비교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