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자영업의 해법은 있는가?

2024. 9. 9. 20:14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자영업의 해법은 있는가?

인구 최전성기 인력들의 퇴직과 은퇴의 시간.

1963년 생은 작년이 만 60세로 공식 은퇴연령.

우리나라 50~60대 인구 : 1,600만 명.

생애 주요 직장 퇴직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하고 싶어 하는 한국인들.

은퇴한다고 놀 수 있나?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고령자 경제활동 참가율.

대한민국에서 고령층은 본인들의 경력을 살리는 일자리가 거의 없음.

(고용의 미스매치가 큰 상황)

 

지난 수십 년간 우리의 해답 : 자영업.

(은퇴 설루션)

5060 자영업 비율 64%.

 

선진국들은 어떤 모습인가? 은퇴연령까지 근로자 생활.

이후 금융 소득 생활.

(연금 + 자산)

우리는 자영업으로 메운 결과 현재의 경제구조가 됨.

 

호주 은퇴자들의 주요 소득원 : 40% 국가연금, 20~30% 퇴직연금.

(미국의 401k)

호주의 평균 은퇴연령 추이(54.4세에서 64.8세)

연금 부자를 불러온 퇴직연금 슈퍼애뉴에이션.

퇴직 연령을 지난 수십 년간 늘리지 못한 대한민국의 해답.

50대면 아기가 고등학생~대학생.

 

자영업 60세 이상 36%.

과거 자영업 설루션 설거지 3년, 청소 2년, 서빙 2년 이후 눈물의 비법 전수.

요즘 자영업 설루션? 백종원 선생님이 최고의 셀럽이 된 이유가 있음.

(프랜차이즈 공화국 = 해답을 찾는 자영업자들)

프랜차이즈 94만 명까지 폭증.

매출액 100조 돌파.

 

자영업자 비중이 20%까지 내려갔다?

(근로자수 증가로 절대 숫자는 여전히 유지)

자영업 'In & Out'이 둘 다 최고점인 시대.

(현재 가득 찬 자영업)

 

요즘 자영업은 어떠한가?

수출과 내수 간 성장률 격차.

(큰 폭의 어려움을 겪꼬 있는 한국의 내수 시장)

'높은 물가 상승'으로 최근 2년 실질노동 소득 정체.

물가상승으로 저소득층 소비 여력 상실.

경제 심리지수 악화.

우리가 퇴직 이후 선택한 자영업자의 성장률? 0%.

(숙박음식업도 최저 성장, 건설업보다도 못했음)

 

자영업자 연체율 크게 증가.

(금리 인상의 시기)

신규 진출도 최고치, 폐업도 역대 최고치.

(금융위기 시대의 폐업 숫자)

 

자영업 구조개혁 = 5060의 일자리 문제.

출구전략은?

 

연공서열형 임금구조로 중장년층으로 갈수록 임금이 높아짐.

(구조조정 대상)

생애 전체 소득을 줄이지 않는 노동시장 유연화가 필요.

이미 퇴직한 5060을 근로자로 흡수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도 놀랍게도 구인난의 나라.

제조업, 운수업, 보건업 등.

 

결국 산업 구조 개편의 문제.

(더 이상 인적 집약적 사업이 아닌 자본 & 기술 집약적 사업으로 전환)

 

서비스 산업의 진흥은 가능한가?

의료, 법률, 회계, 금융, 교육, 관광, 운송, 엔터 등등.

(시장 화곱보다는 파이 나눠먹기가 더 중요한 분야)

대규모 생산시설이나 투자도 필요 없음.

 

결국 노인 고용이 일반화가 될 것임.

(일본은 청년 구인난)

현재 미국 근로자의 1/3은 50세 이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