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올라] 우리 시대의 '강남 땅'은 뭘까? (ft. 유현준)

2024. 9. 3. 19:23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프랑스가 1,200년대에 노트르담 대성당을 지음.

그 전에는 로마 제국(콜로세움, 판테온)에 비해서 야만인

취급을 받았는데 고딕 성당 건축으로 문화 종주국으로 등극.

 

모든 집이 똑같이 생기면 '가치 판단 기준'이 '정량적'으로 바뀜.

(창의성은 물론이고 가치관까지 영향)

 

나만의 가치를 가지도록 '유도'를 해야함.

 

도시의 밀도가 경쟁을 더 심화시킨다?

그것보다 더 심각한 것은 단일민족으로 교육을 받았는데

갑작스럽게 근대화가 되면서 평등해졌음.

('성적'과 '돈'으로만 차별이 가능)

덕분에 경제 성장을 빨리한 것도 있지만 한계에 다다랐다고 판단.

 

자본주의의 단점과 유교의 단점이 합쳐진 나라?

서구는 개인의 자유를 존중해주는데 우리나라는 유교적 잣대로 가두어버림.

그런데 가치관은 자본주의로 돈이 많아야된다고 함.

(극단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사회)

 

오프라인 공간으로만 설명하는 시대는 끝이 났음.

 

부모님 세대에서는 강남에 땅을 산 사람이 위너였음.

(부동산 = 포털 사이트)

지하철 3호선 개통 + 백화점 신설 + 올림픽 대로 = 네트워킹 = 땅의 가치 상승.

부동산이 가지고 있는 연결망.

 

워런 버핏 '딱 하나만 투자를 하려고 하면 자신에게 투자해라!'

(최고가 되면 그걸로 돈을 벌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