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1. 15:55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한국인 중산층 기준]
1.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
2. 월 급여 500만 원 이상.
3. 자동차는 2,000cc급 중형차 소유.
4. 예금액 잔고 1억 원 이상 보유.
5. 해외여행 1년에 1차례 이상.
소득을 기준으로 중산층을 나눔.
자산은 불균형정도가 너무 극심함.
(지역별 등 편차가 너무 심함)
실제 위치보다 스스로를 낮게 생각하는 사람들.
중산층, 고소득층, 저소득층 기준이 애매함.
(자기 주변 사람들을 기준으로 평가를 해버림)
의사는 의사, 고소득층은 고소득층끼리 어울려다 님.
사는 곳들도 소득에 따라 나뉘게 됨.
비슷한 사람끼리 모이면 잘 사는 사람만 보게 됨.
(못 사는 사람은 관심이 없음)
[더킹 크루거 효과]
점수가 높은 사람은 실제보다 낮게 평가.
점수가 낮은 사람은 실제보다 높게 평가.
(사람들은 기준점이 자기 자신임)
지출은 소득에 비례해서 결국 남는 것이 없어짐.
(빠듯해지는 이유)
SNS 발달로 더욱더 자기들 커뮤니티를 넘어서 비교를 해버림.
(불행해질 수밖에 없는 평균 과잉)
사람들은 높은 경제적, 사회적 위치의 사람을 '모방'하기 마련임.
비교 자체는 인간의 속성임.
다른 국가들이 덜 비교한다고 느끼는 이유? 유럽은 '계급'이 명확함.
(엘리트 - 미들 - 워커 클래스)
계급 안에서 만족하는 삶을 배움.
불평등은 평시에는 올라가고 전염병이나 전쟁 같은 사람들이
대량 죽는 사건에서는 낮아짐.
사회보장제도, 부의 재분배 등이 필요함.,
(아니면 '혁명'이 일어나게 됨)
'기회'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자괴감'에 빠져버림.
그런데 단기간에 성공하려면 하면 크게 잃게 됨.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니네버슬립] 사모펀드란 무엇인가? 어떻게 돈을 버는가? (0) | 2024.08.01 |
---|---|
[채널WHO] 돈 버는 비결 아는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0) | 2024.08.01 |
[슈카월드] SM 대전 몰아보기 (0) | 2024.08.01 |
[슈카월드] AB인베브, 오비맥주 KKR에 매각 공식 발표 (거대한 돈의 파도 사모펀드(PEF)의 세계) (0) | 2024.08.01 |
[슈카월드] 세계를 덮친 블루스크린 대란 (0)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