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AI 시대' 우리의 성공 방향성은?

2023. 11. 21. 22:33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AI' 발전 → 손가락만 빤다? → 효율 ↑ / 시간 ↑

제사장 → 신관 → 과학.

 

'증가'하는 직업 : 여가 시간 책임지는 '엔터' 업종, 광고(브랜드 마케팅) 산업,

AI 정비, 로봇 정비, 설계자/관리자, 서비스직.

'소멸'하는 직업 : 단순노동(공장 자동화), 엔터 업종(작가 등), 성우, 변리사, 변호사, 의사, 약사.

ex) 3D 프린팅 하우스 등.

'브랜드'가 있어야 함.

 

모든 것은 '피라미드' 구조.

(밑이 유지되어야 위도 유지됨)

돈+권력.

'브랜드'가 있는 개인/기업.

'자본'이 존재하는 개인.

일반인.

놀고먹는다가 가능한데 '한정된 자원'일뿐임.

 

'기본 소득'

잘 버는 곳의 소득을 '재분배'.

ex) 로봇세.

'소비'를 해야 '돈'이 되기 때문임.

※ 자동화가 되면 대부분의 일자리가 소멸.

(농업 → 공업 → 서비스직 → '?')

 

[인류 끝까지 남을 직업(사람과 사람이 부딪히는)]

심리 치료, 마사지사, 운동선수(오리지널리티), 권력, 국회의원, 판사/검사.

 

※ '기본 소득'을 받으면서 '투자'를 계속해야할 수 있음.

(Money & Pow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