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미국 하드 랜딩?
2023. 9. 20. 09:11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하드 랜딩'에 대해 분석중임.
'소프트 랜딩'에 대한 분위기가 중요함.
'유가'가 어디까지 가니? 하다가 찍고 떨어짐.
파월이 국제 유가를 떨어뜨리기 위해서라도 '하드 랜딩(경기 침체)'을 이야기할 수도.
'국제 유가'가 떨어지면서 채권 시장이 안정되면 '금리'는 못 올림.
그러면 '증시'가 박스권 뚫고 올라갈 수도 있음.
'한달만에 암 사라져... 주변 장기 피해 '0', 3,000억 들인 꿈의 치료기'
중입자 가속기?
입자가속기? 신소재?
(제2의 초전도체 : 테마주로 2주를 날라감.)
애매한 장에서는 '테마주'가 움직임.
FOMC 때문에 몸사리는 매물이 나올 수도 (+추석)
FOMC 끝나고 제자리로 돌아갈 것이라고 보면 '분할 매수'.
추석이 지나야된다고 보면 '관망'.
* 고금리 시대에 돈 빌리는 것 자체가 악재(현금흐름 ↓)
** 금리가 높아서 전환사채, 유상증자 등을 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투] 주식 투자, 추제 투종? 가치 투자? (0) | 2023.09.20 |
---|---|
[강환국] 매수 전에 사고 파는 기준을 잡아야하는 이유 (0) | 2023.09.20 |
[북극성주TV] 지방 부동산에도 훈풍 분다? 투자할 때 이것을 주의하세요 (0) | 2023.09.20 |
[EO 이오] 대학을 갈 이유가 없다는 것 깨달은 고3 창업가 (0) | 2023.09.19 |
[부동산김사부TV] 지금 재건축 상가 사면 망한다!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