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단테] 200조 굴리는 브릿지 워터 레이달리오의 경기 침체 전망
2023. 7. 19. 09:46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경기 침체의 시작은?
'저축률 상승'
저축을 많이하면 소비를 못하고
기업 실적이 떨어지고 침체에 들어감.
금리 인상 + 자산 가격 하락 + 주택경기 둔화 > 저축률 상승.
저축률 상승 > 소비 약해짐 > 경기침체.
그런데 저축률이 상승되지 않음.
* 이미 쌓아둔 돈이 많아서.
기존까지 자신이 가지고 있던 데이터들
과거의 데이터들과 그때 어떤 인플레이션과 주가 움직임을 분석해
보았을 때는 원래 이런 상황에 금리 인상도 있고
자산 가격도 하락하고 주택 경기도 둔화되고 저축률도 상승했고
상승하면 소비가 약해지면서 경기 침체가 왔는데
이번에는 '저축률이 별로 오르지 않았다!' 그들의 예상이
바로 틀렸던 이유는 2020년과 2021년 어마어마한 돈이 풀렸기 때문임.
금리가 많이 올랐어도 돈이 충분히 있어서 저축을 하지 않았음.
기업의 실적들이 악화되고 경기 침체가 오면 정부에서는
양적 완화보다는 '재정 정책(국가가 돈 집행)'을 쓸 것이라고 예측.
효과를 저번에 보았기 때문에 정치적 선택으로 될 것임.
그러면 어마어마한 '인플레이션'이 올 것이라고 봄.
탈세계화.
더 이상 글로벌의 모든 나라끼리 무역을 많이 하겠다가
아니라 미국과 중국을 필두로 갈등들이 시작되면서
'자국 우선주의'로 갈 것임.(비용 상승 > 인플레이션)
'성장'과 '인플레이션' 두가지 관점에서
균형점에 있는 국가가 일본과 중국이라서 '주식'이 좋을 것임.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대주주가 사모펀드라면? (0) | 2023.07.19 |
---|---|
[설명왕_테이버] '건전한 조정'이 오지 않으면 연말에 지수가 박살날 수 있습니다 (0) | 2023.07.19 |
[설명왕_테이버] 미국 상장사를 투자해야하는 이유 (0) | 2023.07.19 |
[설명왕_테이버] 물타기? 불타기? 언제사서 언제 팔아야할까? (0) | 2023.07.18 |
[렘군] 부동산 하반기 2차 하락할까?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