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고배당주 투자 전략, 제대로 하는 방법
2023. 7. 16. 22:54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 배당(= 이자, 안전마진), 성장 < 배당.
저점 매수가 가능.
- 우리나라는 대부분 연말 배당임.
미국 기준에서 보면 한 분기 실적이 나올 때마다 배당을 줌.
우리나라는 배당을 지급하게 되면 배당한 만큼 떨어짐.(배당락)
'배당 기대감'으로 바닥을 형성하고 올라감.(배당 역산) - 글로벌 평균.
* 배당률 + 소각률 = 주주 환원율.
예금 금리가 3~4%면 '리스크 프리미엄' 얹어서 배당이 5~6%가 되어야 함.
'연말'에 '고배당주'가 올라가는 이유?
/년.
보유 기간이 1월이면 * 3달/1년이 되어버림 X4.(5~6% X 4)
찬바람 불면 배당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임.
여름부터 겨울까지 반등폭이 15~20% 임.
배당을 받으면 세금이 나감.
차익 실현을 하면 세금이 없음.
분기 배당으로 바뀌면 이야기가 달라짐.
3개월마다 떨어짐.
'주가'가 '안정적'으로 바뀌어버림.
고배당주는 앞으로 작은 박스 매매임.(적립식 매수)
이슈에 따라 올라갔을 때 계산기를 두드려야 함.
은행, 통신은 '인플레이션'에 민간함.(+ 지수, 환율)
과열되면 매도를 때려야 함.(+반대)
* 미약한 성장(5~10%)
> 총 주주환원율(배당률+소각률) + 성장률.
물리면?
'배당+소각'을 하는데 계속 사면 회사가 알아서 올려줌.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보832] 사업가의 유형, 정파와 사파 그리고 야인 (0) | 2023.07.17 |
---|---|
[설명왕_테이버] 이슈? 장기 펀터멘털이 훼손안된다면 '기회' (0) | 2023.07.16 |
[설명왕_테이버] 투자는 평생하는 게임입니다 (0) | 2023.07.16 |
[러셀] 100억 부자는 1,000억 부자를 보면서 무슨 생각이 들까? (오렌지 커스텀) (0) | 2023.07.16 |
[설명왕_테이버] 작년에 물린 종목 반등으로 본전까지 왔다면?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