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고금리 유지? (연준과 월가의 뷰 차이)
2023. 7. 15. 22:57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월가'의 쟁점. : 2023년 실적? S&P500 EPS(주당순이익) 200달러 넘냐 안 넘냐.
근원 소매 판매(공산품)가 떨어진다? 실적이 박살 나는 것일 수도.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정상범위.
'물가' 관련 지표는 떨어질수록 좋음.
'소매판매'도 오를수록 좋음.
'고용'만 나쁠수록 좋음.
'연준'과 '월가'의 전망 '뷰'가 다름.
[연준] - '경제 데이터' 기준.
소프트랜딩(고금리 짧게) : 물가 빠지고 고용 빠지고 인건비는 적절히 상승.(실질 임금 하락)
하드랜딩(고금리 오래) : 물가 끈적하게(길게) 하락, 고용이 많이 박살(실업률 5%), 인건비 상승하다 보합.
* 물가, 고용
[월가] - '자산' 기준.
월가는 * 실적을 기준으로 봄.
소프트랜딩 : 실적이 꺾여서 리스크가 올라서 연준이 피봇을 빨리.
하드랜딩 : 실적이 꺾여서 리스크가 올랐는데 연준이 계속 고금리 유지.
* 실적 하락 = 고용 하락.
** 장기 관점에서는 월가가 이기지만 단기적으로는 연준이 이길 수 있음.
*** 중국 PPI(생산자) > 미국 CPI(소비자) + 인건비, 실업률, 판매/재고(실적).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작가TV] 주식 투자로 돈을 벌고 싶다면 반드시 보세요 (박세익) (0) | 2023.07.16 |
---|---|
[구만수] 방송에서 아파트 추천해주는 사람 다 사기꾼입니다 (0) | 2023.07.16 |
[벌거벗은세계사] 12조원 미국 부동산 킹 트럼프의 첫 개발사업 (0) | 2023.07.15 |
[70억의 선택] 부동산 재벌 트럼프 초호화 하우스 구입 전략 (0) | 2023.07.15 |
[구만수] '오션뷰'든지 '리버뷰'든지 조망의 핵심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