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10. 14:05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지방 소멸 이슈.
사람이 없는 지방, 사람에 죽어가는 서울.
2030 세대들이 지방에서 출생을 했음에도
일자리를 찾아 상경을 함.
왜 그럴까?
전체 대기업 계열사 분포 비율 : 70.9%.
반대로 회사의 입장은?
지방에도 만들 수가 있는데 굳이 수도권에 만든 이유는?
'지방에 인재가 있으면 일자리를 만든다!'
기업 입장에서는 인재가 적어졌다는 것임.
지방 대학교의 경쟁력이 약해지고 있음.
자신의 주를 떠나지 않도록 지역 공립대의 경쟁력을 강화함.
명문대에 인센티브를 주고 묶어 놓으니 지방에 일자리가 공급됨.
우리나라는 반대로 소홀해서 떠나감.
서울에 일자리가 집중되어 있는데 사무직 기준
업무시설이 있어야 하는데 전국의 입무시설 면적은
전국에서 서울의 비중이 높아 사무직 45%가 서울에 있음.
동시에 집도 많으면 문제가 없는데
서울 1인당 주거면적이 30제곱미터(9평) 임.
그러다 보니 경기도에서 통근, 통학을 해야 하고
그 시간이 편도 58분임.(OECD 2배)
여유가 생길 수 없음.
타 국가 도시 집중과 다른 점 : 서울 집중형 도시 집중화 구조.
수도권에 60% 인구가 몰려있는 나라가 전 세계에 없음.
일반 사무직군이 주거비를 담당할 수 없게 돼서 퇴출됨.
그런데 일자리는 계속 있음.
도시화의 늪, 개인화되는 사회.
엄청나게 많은 시간을 쏟고 '시간빈곤'에 시달림.
그리고 그에 따라 가치관이 변함.
행동방식이나 가치관의 변화가 수반됨.
'가치의 우위'가 철저히 경제적 계산으로 결정됨.
부동산 가격 역시 도시 집중화의 '결과'일뿐임.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시 파브라이] 위대한 기업을 사서 팔지 않는다!, 터키(튀르키예) 투자 (0) | 2023.07.10 |
---|---|
[박병찬의 부자병법] 부동산 폭락론, 믿지마세요 (0) | 2023.07.10 |
[법쩐] 주식담보대출 사채로 몇십억 버는 방법 (0) | 2023.07.10 |
[설명왕_테이버] 가치주 투자 VS 성장주 투자 (0) | 2023.07.09 |
[설명왕_테이버] 주식 시장의 특징은 '선반영'과 '기대감' (0)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