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쟁이부자들TV] 기회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결정을 내면 안됩니다 (부의 감각)

2023. 6. 18. 11:09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모든 1달러는 동일함.

어디에서 나왔는지는 중요하지 않음.

 

지금 지출함으로써 포기하는 대안에 대해서 생각해야 함.

 

'기회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내리는 결정이

우리에게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낼 가능성은 별로 없음

 

비행기에 클래스별 좌석이 있음.

놀이공원에 프리패스권이 있음.(일반가의 2~3배)

그것이 과연 합리적일까?

 

비즈니스 타는 것이 합리적일까? 과소비일까?

'사람'마다 다름.

그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기회비용'임.

'내가 지금 이것을 살 돈을 벌려면 몇 시간을 일해야 하나?'

 

'특정 시기'에 '이 돈'으로 할 수 있는 것을

시간이 흘러서도 '이 돈'으로 할 수 있을까?

 

2014년에 결혼할 때 전세로 들어갔는데 매매 시세가 2억 3천 정도였음.

2012~2013년 여행 가느라 쓴 돈 2천만 원을 안 썼다면 '매매'를 할 수 있었음.

전세로 들어갔던 집은 매매가가 9억까지 올라갔음.(지금은 6~7억)

- 4억 원 이상의 '기회비용'을 날려버림.

 

사회 초년생들은 지금 쓰는 돈이 어떤 기회비용을 갖는지를 생각해야 함.

 

그리고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

주유소를 갈 때 최저가에서 기다리는 것을 안 좋아함.

그 시간에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낫기 때문임.

 

주유하는 시간이 아까워서 한 번에 다 채워야 함.

그러다가 다 써서 근처 주유소에 갔는데 제일 싼 곳이어서 15분을 기다림.

그것을 보면서 '시간'이 아깝다고 느낌.

주변을 찾아봐도 10~20원 비쌌음.

 

여러분의 '시간'이 더욱더 소중할 수 있음.

(더욱더 생산적으로 보낼 수 있다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