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28. 23:36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ㅇ 전국 아파트 분양가 고공행진.
'서울 아파트 분양가 또 올라 평당 분양가 3,064만 원'
'전국 평균 평당 1,600만 원 육박'
ㅇ 분양 가격이 상승한 이유
- 원자재가격 및 인건비 상승.
음식 재료가 비싸지면 음식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음.
- 고금리 여파.
우리나라는 특히 '선분양(PF 대출)'을 하고 있어서 영향이 큼.
- 부동산 규제 완화로 '분양가 상한제' 비적용.
ㅇ 앞으로 분양가 상승은 계속될까?
'일시적이 아니라 계속 상승을 하려면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하락해야 함.
하지만 러-우 전쟁이 진행되고 있고 인플레이션으로 단숨에 해결되기는 쉽지 않음.
'고금리'로 한계치('피로도' 누적)에 오면 건설사는 어쩔 수 없이 파산할 수밖에 없음.
만약에 그 지역이 '반등'을 했고 흐름을 타면?
기존 재고 아파트가 신축 고분양가를 따라간다면?
그러면 신축으로 수요가 또 붙어버림.
앞으로 반등장이 나타날 지역이 '확대'될 수 있음.
ㅇ 앞으로 내 집 마련 및 투자 시 체크 포인트.
- 고분양가 여부 판단.
'입지적 판단' 때문에 높아지는 것이 아닌 것은 '리스크'로 봐야 함.
(아파트가 만들어진 상황에 의해서 가격이 상승)
- 규제완화 이전에 분양가 상한제 적용된 단지 관심.
점점 규제 완화 방향으로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가 사라질 것임.
- << 미분양 혜택 >> 및 << 할인 분양 >>이 적용되는 단지 관심.
(할인된 가격 자체가 주변 신축 아파트보다 저렴한지)
'입지적 가치'를 무조건 봐야 함.
가면 갈수록 거래량이 증가하고 미분양이 해소되면 '할인 분양'은 줄어들 것임.(타이밍)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투] 투자자는 반드시 이렇게 해야 성공합니다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0) | 2023.05.29 |
---|---|
[부읽남] < 2030세대 > 이제 일 안한다? 어떻게 될까? (0) | 2023.05.29 |
[박세익과 식사합시다] 주식으로 큰 자산가가 되는 방법 (주식농부 박영옥) (0) | 2023.05.28 |
[공부왕찐천재 홍진경] 주식 투자, 재무제표 보는 간단한 방법 (슈카) (0) | 2023.05.28 |
[라이프코드] 살아가기 힘든 세상에 성공하는 방법 (0)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