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9. 22:4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ㅇ 한국은행 기준금리 3.5% 동결.
앞으로는 동결 내지 소폭 인상될 것임.
ㅇ 기준금리 동결 이유.
- 물가상승률 4% 초반대로 둔화.
3%대로 진입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음.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렸었음.
- 경기 침체 우려 증가.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기준 금리가 올라가면
가계 입장에서는 소득은 큰 변화가 없는데 '지출'만 늘어남.
-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이후 금융 불안 고조,
미국의 추가 긴축 우려 완화 등.
ㅇ 기준금리 관련 경제전문가 전망.
- 금리 인상 사이클이 사실상 끝났다는 의견 우세.
- 현 금리 수준을 연말까지 유지한 후 금리 인하 시작 의견 우세.
현재 상황에서 무리해서 올리면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짐.
한국은행에서 위험 부담을 질 이유는 없음.
- 2024년 기준금리 2.5%까지 인하 의견.
유동성이 증가하고 내수 경기가 활성화될 수 있음 > 부동산 시장 회복.
- 한은 총재 '금리 인하 언급, 하반기 이전엔 부적절.'
하반기 이전에는 부적절? 하반기 때는 가능성이 있다는 말임.
ㅇ 기준금리 변수의 최대 관건 : 미국의 연준 금리 인상.
-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달러 가치 상승)
- 국내 증시 및 채권 시장에서 외국인 자본 유출 확대.
- 원화 약세 및 수입물가 상승.
-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
- 기준금리 추가 인상 단행(악순환이 될 수도)
지역에 따라서 '반등'할 수 있음.
경제 상황이 안정화되는 시그널이 보이면 '매수세'가 강해져서
'반등' 시점이 더 가까워질 수 있음.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급쟁이부자들TV] 부를 끌어당기는 성격은? (슈러피치 보고서) (0) | 2023.04.20 |
---|---|
[돈깡] 400만원으로 2억 번 사람의 투자 철학 (0) | 2023.04.19 |
[와이스트릿] 주식 투자할 때 무게를 두는 것? (깡패토끼) (0) | 2023.04.19 |
[EO 이오] 3조원 써본 경영인의 인생 철학 (0) | 2023.04.19 |
[이상한리뷰의앨리스] 조만장자가 말하는 인생의 3단계 (레이 달리오) (0)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