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7. 15:55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Hn9fxWILI5k
ㅇ 10월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 감소, 전월세 물건 증가.
-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 3.7% 감소.
- 서울 전세 물건 15.1% 증가.
- 서울 월세 물건 12.9% 증가.
눈여겨봐야 할 점은 매매 건수는 감소했지만 폭이 적었고
전월세 물건 수는 증가했지만 매매 건수에 비해 폭이 크죠.
현재 매물 수도 전월세 매물수가 더 많아 역전되었습니다.
매매 물건 수는 6월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데
전월세 매물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매매 매물이 감소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매매 매물 증가는 하락할 가능성, 감소는 상승할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하락장에서 매물이 감소하면 하락폭이 감소하고
매매 가격이 바닥점에 왔을 때 감소하면 반등 시그널입니다.
아파트 가격의 흐름으로 보았을 때 바닥인지
다른 이유로 감소하고 있는지 분석을 잘해야 합니다.
상승장에서 매물 감소는 거두어들이는 것입니다.
상승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죠.
가격 하락 초입에서 왜 매물 감소가 나타날까요?
검토하고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거래량 급감은 수요자 급감입니다.
그러면 심리적으로 위축되죠.
'팔아야 하는데 더 하락되면 어떡하지?'라고 고민합니다.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더 떨어뜨려서 내놓자,
팔리지 않으니 전월세로 돌리자.
보증금과 월세로 대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바닥점 인식보다는 하락 초입장에서 매도가 안되어
차라리 전월세로 놓고 기다려보자는 심리가 작용한다고 봐야 합니다.
하반기로 갈수록 매매 매물수는 감소하고 전월세는 증가할 것입니다.
반등장의 모습이 아니라 부채 탕감을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봐야 하죠.
계속해서 증가했다가 7월 이후 감소하는 부동산 시장 분위기.
- 매도에서 보유로 전환.
-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
- 기준 금리 인상 정점에 대한 기대감.
심리적으로 반포기로 매도보단 보유로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완화되면 하락하더라도 하락폭이 줄어들고
반등할 때까지 보유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죠.
다행스러운 것은 소비자물가지수가 9월 이후부터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압력이 낮아지고 있죠.
상반기에는 급하게 팔자의 심리가 강했다면
지금은 팔리지 않으니 보유(2~4년)하고 나은 시장을 보고 있습니다.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병찬의 부자병법] 부동산 투자 등 행운이 따르기 위한 조건 (0) | 2022.10.17 |
---|---|
[브자TV] 내 주식 투자가 망할 수 밖에 없는 이유 (0) | 2022.10.17 |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나스닥 역대급 반등이 나온 6가지 이유 (0) | 2022.10.17 |
[815 머니톡] 개인이 주식투자로 돈 버는 방법! 골드만 삭스 출신 헤지펀드 애널리스트 (0) | 2022.10.17 |
[조사하면 돈나와] 최악의 CPI, 하지만 나스닥은 폭등! 왜 그럴까..?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