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매매가'보다 '전세가'가 중요한 이유(현재 가치)
2022. 4. 24. 11:32ㆍ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나의 인사이트
반응형
투자는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잃지 않는 것'은 '리스크 제어'와 맥을 같이 한다.
부동산 투자에서 리스크란 무엇일까?
바로 '역전세'이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매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세가'만 받쳐준다면 어차피 장기적 우상향을 하기 때문에
여력이 되고 버틸 수만 있다면 계속 버티면 된다.
(단, 해당 단지가 입지가 우수하고 상승의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매매가'는 '전세가'를 내려갈 수 없다.
왜냐하면 '매매가'에는 투자 수요(미래에 베팅)가 붙어 소위 말하는 '버블'이 낄 수 있지만
'전세가'는 교환 가치가 아닌 '실수요 가치'이기 때문에
정직하게 버블이 끼지 않는 그 '현재'의 '가치' 자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매가'라는 미래 가치가 반영된 지표보다
더욱 정직한 현재 가치의 기준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현재 '전세가'는 중요하고 '방향성'도 중요하다.
반응형
'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 > 나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투자 : 시장은 자연이고 자본주의는 너그럽지 않다(계약갱신청구권) (0) | 2022.04.24 |
---|---|
오피스텔 등(아파트 대체재) 투자 알고 투자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0) | 2022.04.24 |
부동산 투자 언론을 이용하자(성동격서, 피실이격허) (0) | 2022.04.24 |
투자의 귀재가 되는 간단한 방법('공포'와 '탐욕') (0) | 2022.04.23 |
스마트폰 시대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부동산 투자가 유리한 이유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