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즈의 '승수' 효과

2025. 5. 21. 14:11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 케인즈의 승수 효과 (Multiplier Effect)

1. 정의

  • 케인즈 경제학에서 정부 지출, 투자, 소비 증가 등이 국민소득을 더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말합니다.
  • 즉, 처음 지출된 돈이 경제 내에서 여러 차례 순환하며 최종적으로 더 큰 총소득 증가를 불러오는 현상입니다.

2. 원리

  • 예를 들어, 정부가 100억 원을 도로 건설에 투자하면, 건설 노동자들이 이 돈을 받아 소비를 합니다.
  • 그 소비가 또 다른 사람의 소득이 되고, 다시 소비되어 경제 전체 소득이 원래 투자액보다 훨씬 커지는 것이죠.

3. 수식

승수=11−한계소비성향(MPC)승수 = \frac{1}{1 - 한계 소비 성향(MPC)}

  • 여기서 **MPC(한계 소비 성향)**는 추가로 생긴 소득 중 소비에 쓰는 비율을 뜻합니다.
  • MPC가 0.8이면, 승수는 1/(1-0.8) = 5가 됩니다. 즉, 최초 투자 1원이 경제에 5원 이상의 효과를 냅니다.

4. 의미

  •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출을 늘리면 경기 부양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케인즈 이론의 핵심
  • 특히 경기 침체 때 재정 정책의 효과를 설명할 때 자주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