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즈의 '승수' 효과
2025. 5. 21. 14:11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 케인즈의 승수 효과 (Multiplier Effect)
1. 정의
- 케인즈 경제학에서 정부 지출, 투자, 소비 증가 등이 국민소득을 더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말합니다.
- 즉, 처음 지출된 돈이 경제 내에서 여러 차례 순환하며 최종적으로 더 큰 총소득 증가를 불러오는 현상입니다.
2. 원리
- 예를 들어, 정부가 100억 원을 도로 건설에 투자하면, 건설 노동자들이 이 돈을 받아 소비를 합니다.
- 그 소비가 또 다른 사람의 소득이 되고, 다시 소비되어 경제 전체 소득이 원래 투자액보다 훨씬 커지는 것이죠.
3. 수식
승수=11−한계소비성향(MPC)승수 = \frac{1}{1 - 한계 소비 성향(MPC)}
- 여기서 **MPC(한계 소비 성향)**는 추가로 생긴 소득 중 소비에 쓰는 비율을 뜻합니다.
- MPC가 0.8이면, 승수는 1/(1-0.8) = 5가 됩니다. 즉, 최초 투자 1원이 경제에 5원 이상의 효과를 냅니다.
4. 의미
-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출을 늘리면 경기 부양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케인즈 이론의 핵심
- 특히 경기 침체 때 재정 정책의 효과를 설명할 때 자주 사용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카월드] AI 버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0) | 2025.05.22 |
---|---|
[슈카월드] 럼프형, 그거 받아도 돼? (중동 순방) (0) | 2025.05.22 |
[카피더밸류] 본인의 사업가 기질을 테스트 하는 법 (0) | 2025.05.21 |
[카피더밸류] 사업 인사이트 (f. 돈 버는 재능) (0) | 2025.05.21 |
정신화 능력이란 (의도성)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