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30. 13:51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향년 88세의 나이로 선종)
미국 부통령을 만나고 다음날 사망.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정책을 비판했던 교황은
다음날 부활절을 맞아 가톨릭 신자인 미국
부통령과 접견했으나 몇시간 뒤 선종하게 되었음.
벤스와 교황의 사랑의 질서 논란.
'가족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자국 동포들을 사랑하고 나서야
나머지 세상에 집중할 수 있는 우선순위가 있다!'
'사랑에는 우선순위가 있다는 사실은 기본적인 상식이다!'
(=따라서 불법이민자들은 추방해도된다!)
벤스의 주장을 한마디로 일축한 교황.
'그리스도의 사랑은 다른 사람이나 집단으로 조금씩 넓어지는 동심원적 확장이 아니다!'
'진정한 사랑의 질서는 선한 사라미라인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예외없이 모든 이들에게 열려있는 사랑입니다!'
선종이란?
일반인에게는 사망, 별세라는 표현을 쓰지만 천주교에서는 선종, 개신교에서는 소천이라는 용어를 씀.
볼교의 경우 입적, 열반이라는 표현을 씀.
'서거'는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대통령, 정치 지도자, 문화계 인사의 죽음에 사용.
프란치스코 교황은 1936년 아르헨티나 출생.
무솔리니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이민.
1970~80년대 아르헨티나 독재 정권에 맞선 의인으로 등극.
성인이 된 그는 아르헨티나 예수회 수장이 되었는데 당시
아르헨티나 군사 쿠데타 이후 군부 정권이 좌익 세력을 비롯한 반대파를 잡아죽이던 시절.
(정권에 맞선 이들을 숨겨주거나 해외 도피를 도움)
독재에 맞서는 아이콘으로 부상, 2013년 교황으로 선출.
(최초의 비유럽지역의 출신 교황)
과거 동성애에 관한 질문에는 이렇게 답변.
'동성애자인 사람이 하느님을 찾고 선한 의지가 있다면
내가 어떻게 그를 함부로 판단하겠는가?'
기후변화를 도덕적 문제로 끌어올렸고 통제없는 자본주의를 비판,
바티칸 내부의 재정 투명성까지 수면위로 이슈화함.
2024년 교황은 억만장자들이 순전히 자신들의 탐욕 때문에
사회 정의를 방해한다며 그들에게 더 높은 세금을 물려야함을 주장.
'금융 시장이 법을 지배하도록 두지 말라!'
'사회주의자, 마르크스주의자 그리고 공산주의자까지 양극화로 분열된
세계를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기 위해 뭉칠 수 있다!'
교황은 착한 사마리아인을 인용하며 트럼프의 난민 추방을 비판.
교황은 이스라엘에도 비난.
'테러가 또 다른 테러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
균형을 지키다보니 보수와 진보 모두에게 비난을 받음.
그러나 가톨릭 교회를 개방적이고 포용적으로 만든 것은 사실.
며칠 이내로 로마에 모여 콘클라베를 진행할 예정.
가톨릭 추기경들이 한데모여 비밀스러운 분위기 속 차기 교황을 뽑는
선거로 2/3의 찬성표가 필요.
'콘틀라베'는 '열쇠로 잠근'이라는 뜻.
13세기 후반 교황을 뽑기 위해 모인 추기경들 그런데 무려 3년간 입씨름만 하고 뽑지를 못함.
수백명의 추기경들이 밥만 축내니 주민들은 열이 받았고
가둬놓고 물과 밥을 줄여버림.
그래서 그레고리오는 규칙을 발표.
(교황 선출 때까지 밖으로 못 나온다!)
지금도 철통 보안 속에서 추기경들은 휴대폰을 물론이고
인터넷과 편지 등 외부 소통할 수 있는 모든 것들과 단절된 채 교황을 선출.
(교황의 선거관과 피선거권은 80세 이하에게만 주어짐)
(252명인 전세계 추기경 중 135명)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한 추기경들이 많아 유럽에서 벗어나 지역이 다양해짐.
(가톨릭 내부 다양성을 주장한 교황)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베팅 사이트 디준 당선 가능성 15위.
(역배를 뚫고 당선)
애도를 표하는 아르헨티나 대통령.
'과거 그와 나의 차이로 인한 갈등은 사소해보이며 오히려
그의 진심을 아는 것이야말로 나에게는 진정한 영광이었다!'
동유럽에서 널리퍼진 동방 정교회, 이슬람 세계, 힌두교 협회, 티베트 불교인 딜라이 라마.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카월드] 드디어 전환되기 시작한 미국 정책 기조 (0) | 2025.05.01 |
---|---|
[슈카월드] 차기 딜라이 라마 선출 중국이? (0) | 2025.04.30 |
[벌거벗은세계사] 경험과 지혜의 산물 '판테온'은 왜 최고의 건축인가? (0) | 2025.04.30 |
[머니그라피] 나이키 실적 부진 이유? (0) | 2025.04.30 |
[머니그라피] 저속 노화를 하는 간단한 방법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