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6. 10:53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한때 임차인들은 스타벅스를 좋아했는데 지금은 트렌드가 꺾임.
[박명수 아내 한수민 님의 스타벅스 매각 사례]
신여대 근처 1987년 구축 건물을 29억에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142평 2011년도 매입.
리모델링 후 스타벅스 통임대, 월임대료 900만 원에서 1,600만 원으로 뛰었음.
(리모델링을 하면 월세가 올라야 밸류업의 의미가 있음)
2014년 7월에 46억에 매각, 17억 6천 차익(인테리어, 리모델링 비용 제외)
(실차익은 10~11억, 3년 동안 = 세전 수익률 40~50%, 세후 차익 25%)
부동산 폭등기가 아닌 점에 이정도 수익을 낸 것은 잘한 투자.
2014년 10월 건물을 팔고 자기 돈을 보태서 + 레버리지로 SM빌딩을 89억에 매입.
신감이 붙어서 대지 222평 기사식당을 매입해서 신축.
(철거 후 신축비 21억정도, 스타벅스 임차(계약은 매출액의 15%(보증금 3억 5천))
2019년 매도 후 차익이 63억.
(땅 매입 90억 + 신축비 21억 - 매도가 173억)
취득세 4.3%, 중개 수수료 0.7%, 등기/건축사/감리비용, 금융비도 고려해야 함.
※ 금융비용(신축 2년, 토지 실원가 93억 4천 = 1년당 4% X 2년= 7억 4천)
1년 단위 수익률은 7.5%(드라마틱하지는 않음)
레버리지를 50% 꼈으면 15%.
ex) 건축(설계) 단계부터 스타벅스와 컨택이 됨.
스타벅스는 변동 매출 수수료로 15%를 주었음.
10 몇 년 전에는 지점이 이렇게 많지 않았고 '희소성'이 있었음(=명품 커피 브랜드 이미지)
스타벅스코리아 재무제표 임차료 2,697억 원 / 매장수 = 매장별 평균 매출.
(매장당 월 매출 평균이 1억 2~3천, 수수료는 10% 초반 = 월 1,200만 원대)
(주요 입지 + 1~3층 고려했을 때 지가를 고려하면 좋은 수익률은 아님)
스타벅스 입점 전략이 서울 핵심지(강남, 성수, 한남 같은 평당 1억 5천 이상 지역)에는 통하지 않음.
(서울 핵심지나 지방이나 스타벅스 가격을 똑같음)
소비 형태 변화 : 카공족으로 매출이 올라가기 힘든 구조.
커피를 팔아서 돈을 번다기보다는 '쇼룸 형태'로 변화.
(원두, 컵, 텀블러를 파는 것)
- DT점이 아닌 이상 수익률이 높지 않음.
(지가가 낮고 대량으로 판매가 가능)
지상 1층에 전용 50~60평에 스타벅스 하나만 있는 것은 괜찮음.
(꼬마빌딩(최대 4층)은 1~2층 임대료 60% 차지, 8~9층은 병원들이 있어서 유효)
다이소는 수수료율이 낮은데(5~6%) 매출이 큼.
(다만, 많은 면적을 차지함)
'건물의 특징'에 맞춰서 '임차'를 구성해야 함.
건물 매수 시 의외로 많은 부대비용이 들어감.
ex) 법인으로 샀을 때 등.
상권의 평당 임대료를 고려해서 신축이나 리모델링을 해야함.
임대인들이 메디컬 빌딩을 선호하는 이유 : 리스크가 낮음.
(관리도 상대적으로 용이함)
리스크 프리미엄 + 임대료.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단테] 나스닥 반등을 가짜라고 생각하는 이유 (0) | 2025.03.16 |
---|---|
사업을 할 때 주요 재무 개념(매출,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0) | 2025.03.16 |
[김단테] 트럼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미국과 러시아의 논의를 '생산적'이라고 언급 (0) | 2025.03.16 |
[임용한TV] 트럼프의 외교 전략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숨겨진 배경 (0) | 2025.03.14 |
[주언규] 함부로 목표를 말하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