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3. 10:55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사회경제구조의 역동성과 일할 시간이 40년이나 남아있는 2030이 쉬었다?
노동시장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음.
국가 전체적으로 보면 GDP 손실.
쉬었다는 15~29세 75%는 일할 의사가 없다고 답함.
코로나19 여파로 신규 채용이 막히고 계속 감소 추세에
있던 청년 실업률에 기름을 부었음.
청년 사회진출이 늦어지면 결혼연령도 늦어지고 저출산의 원인이 됨.
(74만 명이 쉬고 있음)
세금과 연금 보험료로 노인들도 부양할 권리와 의무가 있는데 포기하는 것.
(대한민국의 경쟁력이 낮아질 듯)
1. 실업급여.
수 비세 쉬게 하도록 하는 동기가 될 수 있음.
일을 주기적으로 그만두는 사례가 속출.
2. 자격증.
쓸데없는 자격증을 엄청 따고 있음.
많은 비용을 지불함(불안감을 이용한 자격증 장사)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 소비.
사회진출이 늦어짐.
대부분 늦어질수록 고용시장에서 지위가 하락할 확률이 높음.
쉬었음 청년 중 이유 중 1위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기 때문.
일단 쉬면서 스펙을 쌓자 하는 나이브한 마음이나 막막함으로 인한 좌절감도 있을 것.
대기업, 공기업 등은 전체 일자리의 15% 임.
(80% 이상 고용을 중소기업이 담당하나 임금격차가 엄청 벌어짐)
중소기업은 인력난.
30대 평균 연봉(4,092만 원)을 보면 그렇게 높지 않음.
이 청년들이 연봉 1억의 일자리를 들어가려고 해서 경쟁이 치열함.
3. 낮은 노동유연성.
강력한 노동조합.
신규채용을 억제하고 필요하지 않으면 외주화.
노조 가입한 기득권(기성세대)의 이중적인 노동 시장.
(낮은 생산성 고착화)
대기업의 영업이익? 무리한 요구가 아니다?
영업이익을 위해 1차 하청업체 쥐어짜서 마진율 박하게 주고
1차는 2차에게 박하게 주고 그래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격차가 벌어짐.
기득권 VS 비기득권.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섭] 나인원한남, 한남더힐 들어가도 행복하지 않은 이유 (0) | 2025.03.13 |
---|---|
[슈카월드] 트럼프 : 약간의 혼란정도는 괜찮잖아? (0) | 2025.03.13 |
[슈카월드] 화제의 트럼프 연례 연설 (0) | 2025.03.13 |
[슈카월드] 미국 시민권 팝니다! 단돈 70억원 (0) | 2025.03.13 |
[슈카월드] TSMC는 미국에 240조 투자를 발표 (f. 반도체법을 없애겠다!)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