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부심] 아파트 거래량 반토막? 집 안팔리는 시대
2024. 11. 6. 21:51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거래량 반토막? 이것이 뉴노멀.
서울 아파트 시장 '냉기'.
추가 금리 인하가 관건?
단기 급등 피로감 + 강도 높은 대출규제.
은행대츌 규제의 여부가 부동산 가격 상하에 영향을 끼침.
거래 회전율.
1회전에 33년이 걸리는 자산.
(과거에는 20년, 지금은 2배)
거레 유동성이 없다 = 팔고 싶을 때 시장가로 팔 수 없다!
(현금흐름 ↓)
수요 = 선호 + 돈(소득, 대출, 자산처분 등).
(돈이 있어야 수요로 작용)
가격이 높은 곳에서는 수요가 반토막 나는 것이 당연.
달러 표시 해외 자산.
S&P500 약10%의 기대수익률.
환율은 연간 -2~3% 수준으로 약세.
아파트는 연간 3% 기대 수익률 자산.
아파트 보유시 연간 -9% 달러표기 약세가 진행.
원화는 10년전 1,150원, 지금은 1,370원.
(추세화, 원약세 정책이 없음)
60살 은퇴 후 30년을 살면 3억 정도가 필요.
(우리나라 가구 60%가 3억이 없음)
아파트 자산에 매몰되어 있지 말고 주거문제 해결되면 달러자산으로 바꾸는 것이 좋음.
아파트에 과몰입하면 재정이 좋지 못함.
현금 부자가 진정한 부자.
소득을 늘리는 것 = 미래 대비.
짧은 시간 내에 높은 수익률을 원할 때 망해버림.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밀밭의우원재] '평범함(중위값)'을 끌어내리는 사회 (0) | 2024.11.06 |
---|---|
[슈카월드코믹스] 주식 투자의 유형 : 투사 VS 냉정한 승부사 (0) | 2024.11.06 |
[이연] 인기 많은 사람들 보면서 느낀 점 (0) | 2024.11.06 |
[빌사남] 다시 찾아온 부동산 황금기? 2024년 빌딩 시장 상반기 분석 (0) | 2024.11.06 |
[크랩] 스타벅스가 더는 안 먹히는 이유 (0)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