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한국 사람들이 강남에 환장하는 진짜 이유

2024. 10. 6. 17:52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한강 위와 한강 아래 양극화는 점점 더 심해지고 있음.

 

'땅'이랑 '물'은 중요한 자원.

(문명도 강에서 발생)

강남을 개발하면서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됨.

(돈에 대한 신앙과 저항이 공존)

강남도 선망이자 질투의 대상.

강남에 살고자 하는 염원은 막을 수 없었음 = 강남 불패.

 

강남이 비싼 이유는? 수요가 마르지 않기 때문임(공급은 부족).

(인구가 줄어도 지방부터 빠질 것임)

 

강남은 '실리'와 '욕망'을 둘 다 만족시켜 줌.

(심리적으로 살고 싶은 곳 + 득이 많은 곳)

강남 거주 = 신분 상승 = 우월감.

 

강남에는 글로벌 대기업도 많음(생존과 직결).

(고급 이랒리가 많은 강남으로 몰리기 마련)

부동산의 가치 = 강남 출퇴근까지의 거리.

 

강남 8 학군.

(신분 세습)

 

신분 상승의 도착지 : 강남 = 나가려는 사람이 없음.

 

조선 초기 한양의 도성은 규모가 작았음.

(종로, 중구 + 4대 문)

인구가 증가하면서 한성부가 커져서 한강 북쪽 전체였음.

이왕 중에 한강 밑은 영등포를 제외하고 포함시키지 않음.

 

수입과 수출에 유리한 공업 단지를 건립.

(서울과 끝과 끝)

이를 잇는 '경북 고속도로'가 탄생.

경부고속도로 끝이 강남, 여기서 한남대로를 건립해서 강북과 지어짐.

(1일 생활권)

 

지하철.

(강남을 가로로 관통하는 2호선 + 세로로 관통하는 3호선)

이때부터 집값도 본격적으로 상승.

 

도시화로 사람이 몰리니까 전보다 큰 서울이 필요.

강북에 갇혀있던 서울이 강남까지 확장.

 

아파트 시대 개막.

국토는 좁은데 산도 많고 인구가 많으니 아파트가 표준이 됨.

 

강북에서 강남으로 수도를 반 정도 옮기는 사업.

안보상 국정원, 법원, 검찰청 등 강남으로 이전(+강남 8 학군으로 학교 이전).

 

+고등학교 입시가 사라져서 강남에서 살아야 했음.

 

2,000년대 초반 낡은 아파트가 나오면서 재개발/재건축이 본격화,

여기서 프리미엄이 붙으면서 강남 아파트 가격이 급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