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파원25시] 억대 매매가를 초월하는 뉴욕 집들이
2024. 9. 25. 11:44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뉴욕 미드타운.
(샌트럴파크 남쪽 끝부터 14가까지, 맨해튼의 중심부)
(센트럴 미드타운은 21억, 주거지라는 느낌은 없음)
타임스퀘어,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브라이언트 파크 등.
명소들이 가득한 핫 플레이스.
가장 비싼 동네는 허드슨 야드.
(허드슨 야드 : 쇼핑몰, 고급아파트 평균 거래액이 76억)
(허드슨 야드 > 소호 > 트라이베카 > 허드슨스퀘어 > 고와너스 > ...)
뉴욕은 오래된 건물이 많아서 집에 세탁기가 있다면 고급 주택에 해당.
(월세가 최소 400만원)
뉴욕에서 렌트를 하려면 월세 40배 이상의 연수입 증명서 필요.
(+ 보증인(급여명세서 제출))
맨해튼 첼시.
1990년대 초반 즈음부터 소호에 거주하던 예술인들이 집값에 부담을 느끼며 이동.
ex) 앤디워홀.
첼시 평균 주택 가격은 23억원.
땅값 + 건축비 + 선호도에 따른 프리미엄 = 집값.
최근 뉴욕 집값의 추이는? 평균 5% 하락세, 구매자에게는 유리.
뉴욕에서 첼시 지역의 집값은? 허드슨강 주변으로 신축이 지어짐.
24시간 도어맨 상주(+발레파킹 가능)
부자들 : 아는 사람만 아는 브랜드를 선호.
쉽게 바꿀 수 있는 가구보다는 빌트인 제품들은 명품 제품을 사용.
(집의 가치를 올리는 요소)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김사부TV] 부동산 모르면 이혼할 확률, 확 올라간다! (0) | 2024.10.02 |
---|---|
[비즈까페] 팬데믹 당시 연준의 결정을 후회하나요? (0) | 2024.10.02 |
[김단테] ChatGPT는 이제 인간을 뛰어넘는 최초의 인공지능되었습니다 (0) | 2024.09.13 |
[김단테] 일론머스크 '인공지능이 모든 경제 원칙을 바꿔버린다?' (0) | 2024.09.12 |
[김단테] 한국인에게 아이폰16이 더 실망스러운 이유 (0)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