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500억으로 2천억 벌기 PF 개발 예시
2024. 8. 16. 11:35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총 1조 원짜리 사업(건물 완공까지)
토지 매입비 약 5천억 원 예상.
내 돈 500억, 나머지 4,500억 브릿지론(대출)으로 충당.
토지사고 인허가받은 후 본 PF 실행(1조 원)
건설사 보증으로 신용보강.
빌딩 완공 이후 총 1조 5천억 원 분양 성공.
대출과 이자로 약 1조 3천억 갚고 2천억 벎.
초기 대출 브릿지론.
높은 위험 부담하지만 본 PF 대출로 연결되면 짧은 기간에 수익률 가능.
수수료와 이자 명목으로 보통 10~20%.
브릿지론을 주로 하는 증권사 부동산 파트가 큰돈을 버는 이유.
(수억, 수십억 원 인센티브 발생)
80~90% 대출.
성공적인 오나 공 와 분양을 한 경우 수천억 원의 이익도 가능.
돈을 빌려준 사람도, 시행사도 분양만 성공하면 해피.
말 그대로 돈과 인허가 시장으로 거대한 이권이 걸린 곳.
문제 발생?
토지 매입 후 부동산 가격 하락.
금리 상승으로 사업비 증가.
본 PF 들어올 대주단 구성 실패(사업성 부족)
건설사 선정 실패.
그런데 문제만 발생하지 않으면 큰 돈을 벎.
시장이 폭증할 때는 아파트 외 개발사업으로까지 확장.
(비수도권)
매매가격 지수 하락을 하면?
고점에서 살짝만 밀려도 손실.
다음 사람이 사줘야하는데 안되면? 자금 경색, 유동성 부족.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카월드] 날개 없는 추락하는 엔화 (0) | 2024.08.16 |
---|---|
[슈카월드] 채권 돌려막기 수천억 손실 이전 (0) | 2024.08.16 |
[슈카월드]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 개발로 주가 2배 상승 (0) | 2024.08.15 |
[슈카월드] 47조원 반도체 슈퍼딜? 모두가 각자의 칩을 원한다! (엔비디아, ARM) (0) | 2024.08.15 |
[슈카월드] 망한줄 알았던 어떤 회사의 기사회생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