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슈카월드] 제2의 석유, 하얀 석유 리튬 전쟁

NASH INVESTMENT 2024. 1. 28. 10:20
반응형

리튬.

원자 번호 3번의 금속.

상당히 무르고 가벼운 금속석 원소.

전자를 잘 이동시켜 주는 물질이 필요.

리튬 이온전지.

2019년 리튬 이온 배터리를 개발한 3인 화학상 수상.

(1980년대 개발한 것)

휴대폰, 노트북, 전기차 등의 핵심 재료.

특히 엄청난 양의 배터리를 소모하는 전기차의 등장.

공급 부족으로 폭발적으로 리튬 가격 상승.

(10배, 제2의 석유?)

화석연료 사용 규제로 리튬 수요는 폭증할 것.

파리 협약의 목표를 달성한다면 40배 증가.

배터리 가격의 80%까지 상승.

리튬 정제 사업을 해라!

너는 잃을 수 없다!

그것은 돈을 인쇄하는 면허다!

국가별 편중도가 심한 리튬.

호주, 칠레, 중국 3국의 생산량 비중 90%.

리튬 개발 전쟁.

핵심 광물 전략.

새롭게 각광받는 리튬 삼각지대.

전 세계 매장량의 54%가 묻혀있다!

(남미 고원 지대)

리튬 광산.

깊이 파내려갈 필요가 없어 생산비가 쌈.

칠레가 남미 1인당 GDP 1위.

칠레에게는 기회.

리튬 국유화!

헌법 개정! 부결.

국영회사 설립 추진.

광업권을 직접 개발.

(북해 유전을 통한 노르웨이 식의 개발 플랜)

림]

노르웨이냐 베네수엘라냐?

리튬 수요 수출 국가.

한국, 중국, 일본.

2020년까지는 한국 1위.

중국은 정제해서 한국으로 팜.

글로벌 리튬 수입국 순위.

리튬 생산 기업.

SQM(중국이 지분 인수), 미국의 앨버말.

앨버말 주가.

멕시코도 국유화.

아르헨티나 채굴권 정지.

리튬판 OPEC.

대한민국 리튬 수입.

중국에서 제련된 리튬 수입국 1위가 대한민국.

(제련은 환경 이슈 때문에 선진국이 기피)

IRA법안 배터리 광물 요건.

중국을 배제하고 리튬을 확보할 수 있는가?

급한 대한민국.

테슬라도 리튬 확보 전쟁에 참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