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만수] 한 표에 담긴 부동산 경제의 근대사 1부

2023. 12. 27. 19:31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아파트가 오르내리는 원인을 알게 되면

다음엔 언제 오를지 내릴지를 알 수 있게 됨.

핵심은 '이 상황이 언제 괜찮아질 것이냐?'임.

 

한국 전쟁 후 전후 복구 작업.

초토화된 국토를 개발하고 도시를 건설하면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으로 감.(이촌 향도)

수용하기 위해서 아파트를 짓고 '자산'으로서 가치를 가지게 됨.

 

1964년~1971년 사이.

달러를 빌려와서 건설을 하는 '차관 아파트'.

그리고 베트남 전쟁으로 군수 물자를 수출해서 달러를 많이 벌어들임.

한남 대교 건설, 강남땅을 정지 작업함.

그리고 경부 고속도로 연결.

1965년도에 평당 200원을 했는데 1967년 불과 2년 만에 30배가 오름.

그래서 1967년도에 부동산 규제법이 만들어짐.

부산하고 대구가 양도세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50%.

그때는 다운 계약서를 다 써서 효용성이 없었음.

1971년도까지 미친 듯이 가격이 오름.

그러다가 석유 파동이 발생.

(한 달 만에 4배가 오름)

그다음 2차 석유파동.

그 사이에 중동 특수가 발생함.

석유 파동으로 돈이 들어오니까 건설붐이 일어남.

나라는 그냥 생기지 않음.

막일을 해서 돈을 벌어옴.

이때 당시 집값이 폭등하기 시작함.

(강남을 짓기 시작)

1970년대 여의도 시범아파트, 이촌동에 아파트가 생김.

아파트가 별로 없으니 땅값이 엄청 오름.

 

1979년 12.12. 사태.

전두환 집권 후에 집값이 안정화된 게 아니라 2차 석유 파동으로

집값이 박살이 놓아있었음.

집값이 떨어져있으면 세수와 연계 산업이 다 안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