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만수] 투자를 장기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대출 규제도 필요합니다
2023. 12. 15. 16:31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대출'을 제어하고 '유동성'을 풀지 않는 것이
결과적으로 '롱런'하기에는 좋음.
돈을 한꺼번에 풀어서 버블이 생기는 것은 좋지 않음.
집을 샀는데 돈이 막 풀려서 100억이되어서 생수 한병에 3만원씩?
집값은 오르락 내리락 저점을 높여가면서 오름.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그렇지 않으면 망해버림.
가격이 오르고 내리고 하면서 올라가는데
극단적으로는 최저점에 사서 최고점에 파는 것을 노리는 것이고
평균값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평균값 이하의 수익률을 가져가는 사람도 있음.
(어떤 사람은 평균값을 초과한 수익률)
시장의 평균 상승률보다 낮은 곳에서 움직이지 말고
초과 수익률을 얻고자하는 것이 공부의 목적.
10년을 가지고 있으면 오르기는 다 오름.
안정적으로 인플레이션만큼 기대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계속 유지가 됨.
'버블'은 언젠가 터지게 되어있음.
(경제가 받쳐줘야함)
대출을 풀어서 집값 올려놓으면 생수 한병에 5만원이 됨.
밥 한끼 몇백만원.
※ '대출'은 반드시 통제해야함.
그래야 '롱 런'할 수 있음.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부자, '세금'을 어떻게 줄일 것인가? (0) | 2023.12.15 |
---|---|
[구만수] 부동산 투자, 입지 공부는 왜 해야할까요? (0) | 2023.12.15 |
[설명왕_테이버] '베팅(포지션'을 들키면 한방에 털립니다 (0) | 2023.12.15 |
[주주님] 남들 연봉도 한 시간 만에 벌 수 있는 사람의 '주식'과 '돈'이란? (0) | 2023.12.15 |
[슈카월드] 'LTCM', 천재들의 모임 '깡통' 찰 뻔한 이유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