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고금리에서 투자해야할 종목
2023. 8. 13. 00:4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기준금리 = 경기 상황 긍정적으로 볼 때 '유지 or 상승'.
* 미국이 계속 올리는 이유, 우리나라가 못 올리는 이유.
경기상황이 안 좋으면 금리를 인하함.
* 골디락스 = 천천히 금리 인하하면서 경기 부양.
급하게 금리 인하를 하면 도망쳐야 함.
코로나-19 때 미국 기준 금리를 엄청 낮췄음.
과거 2년 동안 금리 인상기 동안 '채권(회사채, 주담대)'의 금리가 높았음.
* 시장은 박살이 나서 빚을 못 갚으니 파산을 할 수도 있음.(흑자 부도)
** 금리를 인하하고 기존 채권을 중앙은행이 사주고 새로 발행(재대출)했음.(저금리)
이때 '주가'는 파산 날까 봐 떨어짐.(그리고 급하게 금리 인하를 낮추니 상승)
'고금리' 때 빚을 내는 것은 굳이 '어려운 길'을 가는 것임.
1년 내에 고금리가 저금리가 되기는 어려움.]
현금을 쥐고 있는 것보다 채권(5%)에 넣는 것도 좋음.
인플레이션이 지속된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상품 가격이 올라감. > '실적' 좋은 주식이 좋음.
ex) 빅테크, 2차 전지 = P ↑, Q ↑
* P X Q, 가격 X 물량 = 매출. (+기술)
마진율(영업이익률)을 곱하면 > EPS, PER.(주주환원 예상)
'환원 + 성장'을 할 수 있는 것이 '금리(채권)'보다 높아야 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찐-'성장주'(실적이 오르는 종목)를 팔아야할 때? (0) | 2023.08.13 |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국민연금은 왜 테마주를 샀을까? (0) | 2023.08.13 |
[설명왕_테이버] 투자의 사칙연산ㅣ모든 종목에 반드시 해야하는 기업분석법 (0) | 2023.08.11 |
[설명왕_테이버] 진짜 실적, '장비' 보다는 '소모품'을 봐야합니다 (매출액 분포/비율) (0) | 2023.08.11 |
[설명왕_테이버] '유보율'의 가장 핵심은 '자본금'입니다 (0)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