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2차전지 고점이었던 이유
2023. 7. 27. 10:36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2차 전지 고점인 이유.
1. 시총이 너무 커졌음.(수급 관점)
1조 > 10조
던질 때 10% : 1,000억 > 1조(대기매수자금 필요)
'예수금'이 지금 50조임.(무한이 아님.)
'유동성'이 지금의 상승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주식 시장에 몰려있는 모든 돈이 받쳐줘야 매도를 받을 수 있음.
2. 유동성 측면.
기관, 외국인, 큰손들이 저점에서 사고 차익실현을 함.
개인 돈들을 가져감.(주가가 상승하는 동안)
개인 수급으로 올릴 때 한정적인 이유는 돈을 찍어낼 수 없기 때문임.
'주가'는 매수를 해주는 돈이 있어야 끌어올려짐.
주가는 1주의 가격.
모든 주식의 거래 가격과는 다름.
이 시장에 얼마의 돈이 들어간지 모름.(제각각 매수 금액이 다르기 때문임)
시가총액 40조? 모든 주주들이 40조를 썼냐? 아님.
유지될 수 있는 '주가'란? 진짜 기업의 가치가
나와야 하고 진짜 시총만큼의 돈이 들어가야 함.
모두가 동의하면 안 빠짐.
3. 추가 공매도가 없음.
4. 차트상 고점.
5. 단일 계좌 1조 썰.
6. 내부자 매도.
7. 거래량 폭발.
고점에서 거래량이 폭발해서 꺾이면 그 매물대가 형성됨.
(무거운 모자가 써진 격.)
8. 거래대금 60조 ex) 삼성전자 9.6만 고점.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승연의탐구생활] 포브스 부자 순위로 보는 시대 변화 (0) | 2023.07.27 |
---|---|
[김단테] 주식 투자, FOMC 결과(달러 방향 결정 > 세계 주식 향방) (0) | 2023.07.27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지수사 & 홀딩스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3.07.27 |
[돈깡] 주식 투자, 파도를 타는 서퍼처럼 (0) | 2023.07.26 |
[터보832] 사람들이 '건물주'를 선망하는 이유는?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