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기준금리와 PER, 적정주가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
2023. 7. 14. 18:1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비트코인 싸다 비싸다의 기준이 없는 이유는?
베이스 숫자가 필요함.
채권 시장 기준은 '기준 금리'임.
주식 시장 기준은 '실적'임.
'돈'으로 '자본 이익'을 내는 것이 '자본주의'임.
수익률이 좋냐 안 좋냐의 기준은 '기준 금리'임.(목표 수익률)
** 100 / 기준금리 = 100 / 1%, 50 / 2%, 33.3/3%, 25/4%
* 1/PER = 수익률. cf) 할인율
- 기준 금리가 0%(제로 금리)가 되면 PER이 '무한'이 됨.
기준 금리 4% 일 때는 돈의 1/25이 '연'에 나에게 온다는 것임.
100, 50, 33, 25 가 'PER'임.
만약 '기준 금리' 4.5%면 PER 약 22배.
채권 시장은 '원금 보장'임.
주식 시작은 '원금 미보장'임.
그래서 주식 시장에는 '리스크 프리미엄'을 줘야 함.(+알파)
기준 금리 4~5%면 통계 PER은 20~25배임.(+리스크 프리미엄)
= '15~17배'가 되어야 함.(지수)
가격, 목표 수익률, 장기투자 = 보수적(다우존스지수 = 실적 베이스).
나스닥은 목표수익률을 단기적으로 가져가고 공격적으로 함
그래서 오를 때 많이 오르고 빠질 때 많이 빠짐.
나스닥은 기관도 공매도 치고 숏커버링 치고 그래서 왔다 갔다 함.
* 떨어질 때 사고 오를 때 팔자 = 차트, 실적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역시 K-주식, 승계 꼼수 계산법 (0) | 2023.07.15 |
---|---|
[부동산쿨TV] 한쪽은 신고가 한쪽은 하락, 그 이유는? (유선영 대표) (0) | 2023.07.14 |
[설명왕_테이버] 사회초년생 몰빵 투자? (0) | 2023.07.14 |
'대단지'도 돈 안됩니다! 재건축/재개발에 부는 찬바람 (0) | 2023.07.14 |
[김종봉] 돈이 되었던 모든 것들은 사실 돈이 되지 않았던 시절의 존재입니다 (책다방)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