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그라피] 이재용 회계사가 알려주는 왕초보를 위한 재무제표 읽는 방법

2025. 5. 2. 16:53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매출원가가 높으면 좋은 재료를 쓰는 것인가?

영업이익률이 몇 퍼센트가 좋다는 거지?

 

재무제표 = 장부.

사업을 하고 나면 얼마를 벌었고 얼마를 썼는지

그리고 가진 재산이 뭔지 기록을 해야 함.

그래야 세금신고도 할 수 있고 투자대출을 받을 수도 있음.

(모든 기업 활동의 근간)

국가회계법에 따라 작성.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재무상태표]

자산.

부채.

자본.

[현금흐름표]

영업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

 

자본 대비 부채가 200% = 안정적.

장기차입금(이자 발생)을 중점적으로.

(나머지 부채들은 거래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이자가 붙지 않는 부채)

영업이익에 비해 차입금이 적다면 안정적인 기업.

 

제조업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영업이익률)10~15%면 양호.

매출원가 제조업이면 60% 찍는 것이 준수.

60% 이하면 제품에 가격을 얹어서 팔 수 있는 회사.

(브랜드의 힘)

매출원가율이 낮으면 품질이 떨어진다는 이야기일 수도.

(기업 입장에서는 낮을수록 좋음)

 

[판관비]

매출원가에도 급여가 있음.

(제조업은 공장부서에 있는 급여는 원가, 본사 상주는 판관비로 잡음)

그런데 본사에서 일하지만 원격으로 공장 일을 하면? 판단해서 매출 원가로.

판매비 : 급여, 임차료, 감가상각비, 광고선전비, 운반비, 지급 수수료 등.

관리비 : 급여, 임차료, 감가상각비, 지급 수수료 등.

 

지급 수수료 : ex) 유통 수수료 등 기업이 내는 잡다한 비용.

 

재무제표에서 한 단계 해석을 더 거쳐야 함.

[변동비]

매출이 1개 팔았을 때, 2개 팔았을 때 동일한 비율로 늘어나면? 변동비.

재료비, 운반비, 유통 수수료 등 제품과 비례해서 늘어나는 비용.

(임차료, 광고선전비는 비례하지 않음)

 

'전체 비용'중에 몇 프로는 '변동비'고 몇 프로는 '고정비'인지 알아야

매출액이 2~3배 늘었을 때 영업이익이 어느 정도까지 늘어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음.

 

매출액 대비 변동비를 90% 쓰는 회사가 있다면?

100억이었다가 200억이 되면 변동비도 그만큼 늘어나서 영업이익은 2배로 늘어나지 않음.

그런 식으로 비용의 구조에 따라 장기적인 영업이익의 변화가 크게 차이 나서

매출액이 변동비가 몇 프로고 고정비가 몇 프로인지 봐야 함.

 

제조업이면 기본적으로 변동비가 높음.

플랫폼은 변동비가 별로 없음(반대로 높으면 위험함).

ex) 인건비 비중이 높아서 고정비가 높음(매출이 늘어야 됨)

 

매출원가율에서 판관비 중 변동비를 파악하면 매출액 대비 변동비 파악 가능.

 

변동비를 분석함으로써 각 기업의 원가 구조를 유추해 볼 수 있음.

 

회사의 매출액 중에 'P'와 'Q'를 찾는 논리적인 추정이 중요.

(수량(Q)가 더 중요)

가격은 올리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

 

우선 차지하는 시장 규모.

잠재하고 있는 시장, 거기서의 점유율, 남은 사업의 시장규모.

그 회사의 경쟁력을 보면서 유추.

 

삼양식품 VS 오뚝이.

오뚝이가 영업이익은 더 큰데 삼양보다 시총이 낮은 이유?

매출의 프라이스와 퀀티티를 보았을 때 라면 가격은 국가의 통제를 받음.

또 너무 오래된 시장으로 더 커지기는 힘듦.

그런데 삼양은 해외로 나감.

(수량도 늘고 가격도 늘 수 있음)

(잠재적인 시장규모)

단순 숫자뿐만 아니라 시장 규모상황을 고려해야함.

 

재무제표 이외의 보도자료라든지 사업보고서라든지 취합을 해서 봐야 함.

(보도자료 등은 허위자료일 수 있으니 재무제표로 다시 해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