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도'와 '명도'란?

2025. 4. 21. 13:22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채도(彩度, Saturation)**와 **명도(明度, Brightness/Value)**는 색을 표현하는 중요한 두 가지 속성입니다. 색상(Hue)과 함께 색의 3요소라고 불립니다.

1. 채도 (Saturation)

  • 정의: 색의 맑고 탁한 정도, 또는 선명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얼마나 순수한 색인지, 회색이나 다른 색이 얼마나 섞였는지를 의미합니다.
  • 특징:
    • 높은 채도: 색이 선명하고 강렬하며 생생하게 느껴집니다. 순수한 원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습니다.
    • 낮은 채도: 색이 흐릿하고 탁하며 옅게 느껴집니다. 순수한 색에 회색이나 다른 색이 많이 섞일수록 채도가 낮아집니다. 채도가 0%가 되면 무채색(흰색, 회색, 검은색)이 됩니다.
  • 예시:
    • 빨간색의 채도가 높을수록 선명한 빨강, 낮을수록 탁한 빨강 또는 분홍색에 가까워집니다.
    • 파란색의 채도가 높을수록 쨍한 파랑, 낮을수록 흐릿한 파랑이나 회색빛 파랑이 됩니다.

2. 명도 (明度, Brightness/Value)

  • 정의: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냅니다. 빛의 양에 따라 색이 얼마나 밝거나 어두운지를 의미합니다.
  • 특징:
    • 높은 명도: 색이 밝게 느껴집니다. 흰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높습니다. 가장 높은 명도는 흰색입니다.
    • 낮은 명도: 색이 어둡게 느껴집니다.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낮습니다. 가장 낮은 명도는 검은색입니다.
    • 무채색(흰색, 회색, 검은색)은 채도는 없지만 명도만 가지고 있습니다.
  • 예시:
    • 빨간색의 명도가 높을수록 밝은 빨강, 낮을수록 어두운 빨강이 됩니다.
    • 파란색의 명도가 높을수록 하늘색에 가깝고, 낮을수록 남색에 가까워집니다.

요약하자면:

  • 채도는 색의 순수함 또는 강렬함을 나타냅니다.
  • 명도는 색의 밝기 또는 어두움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속성은 색상을 더욱 다양하고 풍부하게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빨간색이라도 채도와 명도에 따라 완전히 다른 느낌의 색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