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21. 10:0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한국 테마주 경험의 3가지 두드러진 특징.
1. 시장 허무주의 : 테마주는 탄탄한 것부터 미약한 것.
그리고 완전히 잘못된 것에 이르는 전제들을 바탕으로 가치가 매겨짐.
'사실'과 '논리'는 중요하지 않음.
2. 정치 테마주 : 선거기간 동안 신비로운 과정을 통해 특정 주식들이
일반 주식에서 특정 대선 후보자와 연결된 정치 테마주로 변모함.
선거가 끝나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감.
3. 개인투자자들만의 독특한 문화(서브컬쳐) : 테마주는 개인투자자들에
의해 거래됨. 그들의 문화는 명령한 집단 도박과 공매도에 대한
포퓰리즘적 적대감을 포함한 명상적 음모론적 신념이 혼합.
2007년 이명박 후보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이어지는 '한반도 대운하' 건설을 제안.
이 후보의 제안은 유권자들과 개인 투자자들의 상상력을 사로 잡음.
6개 건설회사 그룹의 주가는 선거 전까지 평균 750% 이상 상승.
(수치가 높게 들리지만 어쩌면 합리적이었을 수도 있음)
이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했을 때 이 주식들의 가치는 폭락했고 이전
상승분의 대부분이 사라짐, 당선되었지만 혜택을 볼 것이라고 여겨졌던
이명박 테마주들은 엄청난 가격 하락을 겪었음.
[정치 패턴]
A 후보 출마 선언 → 연관 주식 상승 → 선거다가오면 하락.
B 후보 출마 선언 → 연관 주식 상승 → 선거다가오면 하락.
(누가 당선되든 무관하게 모두 가치 하락)
일론 머스크가 Signal 앱에 대해 트윗한 후
그와 무관한 'Signal Advance Inc.'라는 초소형 기업이 5,100% 급등.
일론 머스크가 다시 그것이 아니라고 트윗을 했는데
몇주가 지난 후에도 여전히 트윗 이전 가격의 10배에 거래.
매수자들이 깊이 무지했을 수도 있지만 다른 가능성 제시.
같은 주식을 모두 함께 매수하기를 좋아하는 개인투자자들의 무리가 있고
머스크의 트윗은 그들에게 조정의 중심점이 되는 셀링 포인트를 제공.
DI Corp는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제조.
박원호가 회사를 이끌고 주요 주주.
(그의 아들이 싸이)
2012년 싸이는 시그니처인 말춤이 등장하는 '강남 스타일' 비디오 발표.
전세계 히트를 기록했고 주가에 영향을 미침.
(거래량 폭증 + 700% 상승)
2013년 다시 싸이가 히트곡을 발표, 다시 주가를 끌어올림.
싸이 효과를 어떻게 설명하든 특별히 논리적으로 보이지 않음.
하지만 아무리 희박하더라도 연관성은 사실적으로 있음.
LCD 부품 제조업체인 파인DNC의 경영진은 추석 연휴
자사 주가가 5배나 상승하는 것을 보고 놀랐음.
자사가 'UN 사무총장 반기문 관련주'로 묶여있다는 것을 봄.
반기문은 내년 대선 출마 후보 중 한명으로 거론.
파인아시아자산의 CEO 반기로가 이 회사에 관심을 보였다고 것에 주목.
(반기문의 사촌동생이라고 소문지 터졌는데 관련이 없음)
[한국의 정치 테마주와 관련된 문제 제기]
1. 후보자들과 주식들 간의 희박한 연관성(시장 허무주의).
2. 초기 주가 상승의 규모.
3. 예정된 선거가 다가올수록 주가가 하락하는 예측가능한 패턴.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단기 이익을 위해 테마주를 매수함.
그들의 목적은 주로 상승하는 밴드웨건에 올라탔다가 붕괴 직전에 내리는 것.
많은 이들이 투자하는 기업의 가치와 무관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단순히 소문에 의해 조성된 랠리에서 이익을 얻고자 함.
'높은 변동성'은 결함이 아닌 특징임.
'높은 변동성'은 도박꾼의 흥분을 의미함.
이는 선거가 다가올수록 주가가 하락하는 한가지 설명이 됨.
더 이상 '불확실성'이 없기 때문임.
개미 = 강력한 정치적 힘.
ex) 저는 공매도가 싫어요!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인구의경제연구소] AI 시대, 주식 시장은 상상력! (전력, 원자력, 해저케이블 등) (0) | 2025.02.23 |
---|---|
[전인구의경제연구소] 상승장에서 돈을 벌어도 가장 힘든 일? (0) | 2025.02.23 |
[언더스탠딩] 인공지능 2~3년 뒤에 위기가 올 수 있다? (0) | 2025.02.19 |
대한민국 에너지 기본계획 통과에 따른 수혜주는? (0) | 2025.02.19 |
[김단테] 챗GPT는 이제 끝? 일론 머스크의 발표로 인공지능 업계는 영원히 바뀝니다. (그록3)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