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20. 22:41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트럼프 : 중국 기업의 AI 딥시크는 우리 기업들에게 경종을 울렸다!
우리는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더욱 집중해야한다!
2022년 네이처 인덱스에서 미국이 중국에 최초로 역전되는 일 발생.
(사이언스지와 더불어 과학자들이면 누구나 논문을 올리고 싶어하는 저널)
중국이 숫자로 밀어붙이는 것 아닌가?
상위 1%에서도 중국 연구가 미국 연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
중국 > 미국 > 독일 > 영국 > 일본 > 프랑스 > 캐나다 > 대만민국 > 인도 > 스위스...
2023년 네이처인덱스 지수 상위 10대 기괸.
중국과학원, 하버드, 막스 플랑크 연구소, 중국 베이징 공립대학, 중국과기대, 북경대,
프랑스 국립과학 연구소, 난징대, 저장대, 칭화대, 서울대(59위).
2016년 시진핑 주석의 '과학 굴기' 선언.
세계 AI 산업 표준 주도, 과학기술 혁신국가, 선두 국가, 최강국.
과학기술을 선언한지 이제 8년, 성장은 놀라움.
2021년 탐사선 화성 착륙, 세계 최대 전파 망원경 스파이아이 가동.
세계 최강 드론 국가, 로봇 기술도 최고.
(우주기술, 화학기술, 바이오기술, 양자기술, AI 기술 등)
'중국은 과학 기술의 슈퍼 파워 국가가 되고 있다!' - 이코노미스트.
(미국, 유럽, 일본이 지배하던 낡은 과학 세계 질서의 종말)
중국은 2030 AI 리더 국가 선언.
이번 딥시크 창업자가 중국 총리 리창과 면담한 것은 우연이 아님.
(중국에서 영웅으로 떠오르고 있는 창업자 량원펑)
중국 학생들 사이에 불고 있다는 과학기술 스타트업 열풍.
(입신양명의 길)
딥시크의 연구자들은 대부분 중국대학 출신들.
나의 성공이 마을 전체의 희망이 되는 1970년대 대한민국 같은 이야기.
글로벌 AI 인재 2023 보고서(학부생, 대학원생, AI 개발자).
거의 절반이 중국.
('미국'과 '중국'이 양강을 형성)
더 이상 실리콘밸리에 매이지 않는다!
(중국에 더 많은 기회가 있다고 생각함)
더이상 미국 기업 취업에 연연할 필요가 없어진 중국 학생들.
중국은 단순한 경쟁자를 넘어서고 있다!
(글로벌 환경 재편)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미나이] 양자 컴퓨팅에 클라우드 서비스가 왜 필요할까요? (0) | 2025.02.21 |
---|---|
[슈카월드] 대한민국, AI 인재 1만명 배출 목표 (0) | 2025.02.20 |
[퍼플렉시티 딥리서치] 양자 컴퓨팅 상용화 전망과 수혜 산업 분석 (0) | 2025.02.20 |
[매경월가월부] 적자를 줄여야 미국이 생존한다! (0) | 2025.02.20 |
[언더스탠딩] 휴머노이드 옵티머스를 사용했을 때 이득은?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