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스탠딩] 가위바위보를 어떻게 내야 잘낼까? (f. 게임이론)

2025. 2. 12. 11:28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게임이론 : 개인의 행동이 서로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끼침.

ex) 애플~갤럭시의 경쟁 관계(제한된 시장에서는 게임이론이 되어버림).

인간은 이기적이고 탐욕적이라는 것이 전제.

협력과 이기심 사이의 긴장을 강조.

ex) 죄수의 딜레마 : 개인의 합리적 선택, 부정적 사회적 결과.

예측 불가능성의 중요성과 전략적 의사 결정을 이해

ex) 홀드업 문제(대기업의 말만 듣고 생산라인을 정리한 중소기업의 인질화(반대도 마찬가지),

ex) 팀의 도덕적 해이(개인은 100%에서 0%로 하지만 이득은 나누기 때문에 반드시 요령을 피움).

ex) 공유지의 비극(공유 자원에서는 개인의 이기심으로 자원을 모두 고갈)

 - 철조망은 사유 재산의 확립에 기여한 최고의 발명품.

 

(사람은 손해보는 것을 잃어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선택을 할 것을 예측하고 대응)

[가위바위보]

가위로 이기면 +1 바위로 이기면 +2 보자기로 이기면 +3 일 때

어떤 것을 자주 내야 이길 확률이 높을까?

상대방은 보자기(+3)을 방어하려고 가위(+1)를 내려고 하니

바위를 내야 이길 확률이 높아짐.

[노르망디 상륙작전]

독일군 롬멜 장군은 노르망디로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가장 손실이 클 지역을 방어하고 있었는데 이때 아이젠하워가 

노르망디(틈새) 지역을 공략하여 승리를 쟁취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