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스탠딩] 가위바위보를 어떻게 내야 잘낼까? (f. 게임이론)
2025. 2. 12. 11:28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게임이론 : 개인의 행동이 서로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끼침.
ex) 애플~갤럭시의 경쟁 관계(제한된 시장에서는 게임이론이 되어버림).
인간은 이기적이고 탐욕적이라는 것이 전제.
협력과 이기심 사이의 긴장을 강조.
ex) 죄수의 딜레마 : 개인의 합리적 선택, 부정적 사회적 결과.
예측 불가능성의 중요성과 전략적 의사 결정을 이해
ex) 홀드업 문제(대기업의 말만 듣고 생산라인을 정리한 중소기업의 인질화(반대도 마찬가지),
ex) 팀의 도덕적 해이(개인은 100%에서 0%로 하지만 이득은 나누기 때문에 반드시 요령을 피움).
ex) 공유지의 비극(공유 자원에서는 개인의 이기심으로 자원을 모두 고갈)
- 철조망은 사유 재산의 확립에 기여한 최고의 발명품.
(사람은 손해보는 것을 잃어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선택을 할 것을 예측하고 대응)
[가위바위보]
가위로 이기면 +1 바위로 이기면 +2 보자기로 이기면 +3 일 때
어떤 것을 자주 내야 이길 확률이 높을까?
상대방은 보자기(+3)을 방어하려고 가위(+1)를 내려고 하니
바위를 내야 이길 확률이 높아짐.
[노르망디 상륙작전]
독일군 롬멜 장군은 노르망디로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가장 손실이 클 지역을 방어하고 있었는데 이때 아이젠하워가
노르망디(틈새) 지역을 공략하여 승리를 쟁취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읽남] 미국 주식으로만 돈이 몰리는 이유 (0) | 2025.02.12 |
---|---|
[전인구의경제연구소] 엔비디아가 칩을 빨리 많이 팔아야하는 이유 (사업 구조) (0) | 2025.02.12 |
[비즈까페] AI 시대 누가 승자가 될까? (f. 인터넷) (0) | 2025.02.11 |
[김단테] 인공지능 시대에 일반인들은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 (0) | 2025.02.11 |
[김단테] 테슬라 투자를 한 이유 (AI 스타트업 비팩토리 노정석 대표님)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