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추락하는 성장률, 위기의 한국경제

2024. 12. 23. 22:59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원달러 환율 1,450원 돌파.

12월 미국 연준 기준금리 25bp 인하.

(5개월 사이 100bp 인하)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데 치솟는 원달러 환율.

 

금리 = 돈의 가치.

미국 금리 인하 = 달러 가치 인하.

금리 인하 이후 매차적 발언을 강하게 한 파월 연준 의장.

'우리는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할 것이다!'

'성장률'도 높이고 '물가'도 높임.

 

기준금리 인하 전망 4회에서 2회로 변경.

트럼프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어떤 국가에 얼마나 오랫동안 어떤 규모의 관세를 부과할지 모른다!

파월의 연설이 끝나자 미국채 금리 상승.

(시장은 단 1번의 인하만을 반영)

미국 금리는 예상보다 천천히 내려갈 것이다!

 

한국은행은 15년 만에 기준금리 연속 인하.

이미 현재 한국금리와 미국금리 역전 격차는 10년래 최대치.

유지하는 미국 VS 못 버티는 한국.

(돈의 수익률 차이 확대)

 

당연히 달러 대비 원화는 약세를 기록.

더구나 정치 불안까지.

1997년, 2008년 이후 최초로 1,500원선 근접.

 

한국은행의 속마음을 알 수 있는 한국은행 이슈 노트.

우리 경제는 이미 2024년부터 잠재성장률 2.0% 시대로 진입!

(노동투입(초저출산, 인구감소)은 사실상 제로, 자본 투입(투자 둔화) 약화,

총 요소생산성(혁신 부족, 자원배분 비효율성 강화) 약화)

자본투입 : 부동산은 성장률을 높일만한 투자처가 되지 못함.

총 요소생산성 : 팬데믹 이후 충격적으로 낮아짐.

(노동, 자본량 등 직접 투입요소 외에 경영혁신, 기술개발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부문이 얼마나 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해 내는가)

(= 생산성 지표)

(자유무역 쇠퇴, 보호무역 강화, 혁신기업 생산성 정체, 구조조정 지연 등)

주요 선진국 노동생산성도 최하(=산업구조의 문제)

강한 중소기업이 극히 적은 대한민국.

대부분의 고용은 서비스업인데 노동생산성이 낮음.

(생계형 도소매, 숙박, 음식업 비중이 높음 / R&D형이 부족)

 

대형 제조기업이 계속해주면 된다?

(대형 혁신기업의 숫자마저 크게 밀리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