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먼] 사업을 하는 방법

2024. 10. 10. 21:52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1. 사용자들이 사랑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함.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제품보다 소수가 사랑하는 제품(확장 가능성).

소수의 팬 VS 다수의 사용자.

대부분은 사람들이 적당히 좋아하는 제품만 만듦.

2. 성장.

'어떻게 하면 성장할 수 있을까요?'

본질로 돌아가면 결국 또 제품임.

3. 안정화.

계속 이길 수 있도록.

경쟁 우위를 가져야 1등을 할 수 있음.

한번 고지를 ㄹ점령하면 계속 이길 수 있는 이유를 알고 있는 것임.

회사가 성장한 뒤에는 자체적으로 경쟁에서 이기는 구조를 만들어야 함.

 

제품 + 성장 + 해자 구축.

 

문제가 있다 = 기회.

모든 사업은 각자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

커지면서 문제는 더 커질 것.

 

사업은 사람 문제가 가장 큼.

경쟁사에서 져서 망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망해버림.

사람을 모으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회사가 커질수록 대표는 '전략'과 '채용'에 집중할 수밖에 없음.

팀의 핵심 멤버가 아닌 사람들을 빠르게 해고하는 것도 중요.

 

'집중력''몰입'.

최고의 스타트업들은 집중력으로 중요한 것에 몰입을 함.

반복할 때마다 5%씩 낮아질 수 있는데 주기가 빠르면? 속도가 빨라짐.

(+ 압도적으로 빠른 실행)

 

아이디어보다 시장이 더 중요함.

시장은 바꿀 수는 없음.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것을 만든다면? 아이디어는 버려야 함.

(시장을 만들 수는 없음)

 

좋은 아이디어는 대기업이 하고 있고 나쁜 아이디어는 말 그대로 바쁨.

중간 지점의 답을 찾아야 함.

 

잘되는 CEO들은 개인이 경험한 문제들을 잘 풀고 있음.

실리콘 밸리가 다른 곳 하고 다른 점은 사람들의 '반응'임.

스스로 깨지지 않게 잘 관리해야 함.

아이디어가 초기일수록 흔들리고 좋을수록 나쁘게 들림.

 

현재 전 세계는 연결되어 있음.

새로운 아이디어로 전 세계 스타트업과 경쟁할 수 있음.

현지화도 괜찮은 방법이지만 본질을 파악하고

그 나라의 문제를 파악하고 그 나라를 위한 것을 만들면 됨.

(스스로를 가둘 필요는 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