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보832] 한국인의 부동산 자산 비중과 집중화가 일어나는 이유
2024. 7. 28. 21:31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부동산 몰빵에 돈이 주식 시장으로 흘러가서
일자리 창출이 되어 '선순환'이 되어야 하는데
청년층은 빚은 갚느라 돈이 없고 노년층은 비중이 높아서 돈이 없어서 '소비'가 줄어듦.
다만, 부동산 가격이 30~40% 떨어지면 내수가 폭망 할 것임.
(정부가 부양책을 쓸 수 밖에 없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의 자산 80%가 부동산.
(부동산이 가장 예민한 주제가 됨)
5분 위중 상위로 갈수록 부동산 비중이 높아짐.
(상위 0.1%는 부동산 비중이 줄어듦)
'순자산 1%의 기준은 32억 8천만 원 부동산이 80% 넘어'
자산이 50억이면?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32평 1채와 현금 10억인데
이러면 부자 커뮤니티에서는 부자라고 보기 어려움.
'노인자산 80%도, 청년빚 80%도 부동산... 쓸 돈이 없다! (부의 고령화)'
정부 정책은 '표심'에 영향을 받게 됨.
소셜 미디어 이용률이 전 세계 2위.
(비교 문화가 만연)
우리나라 아파트는 '규격화'되어 '상품화'되기 좋음.
(미국과 다름)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입지'뿐임.
(커뮤니티로 차별화를 두려고 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사부] 모텔에 대한 편견을 깨면 가능한 일 (0) | 2024.07.29 |
---|---|
[경관의피] 하우스 연회비? 얼마일 것 같냐? (0) | 2024.07.28 |
[와치빌런] 당신의 시계는 어디 그룹에 속할까? (0) | 2024.07.28 |
[아는형님] 기후 변화 = 경제 문제 (0) | 2024.07.28 |
[전참시] 45인승 버스로 소화하는 완전체 스케줄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