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채부심] 2% 물가 달성하면 경기침체 반드시 오는 이유

NASH INVESTMENT 2024. 6. 7. 13:40
반응형

'Under any Circumstance'

2% 물가 목표를 절대 손 안 대겠다!

안정적인 물가와 낮은 실업률과 높은 성장률이 양립할 수 있다? X.

2% 물가 추진을 과도하게 할수록

성장의 동력은 낮아지고 실업률은 높아질 것임.

 

물가 안정 통화 정책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는 이유는

낮고 안정적인 인플레이션경제의 효율성을 증진하고

장기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는 합의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손에서 자유 시장 경제 체제가 작동함.

(최적의 자원 배분 → 최대의 경제 성장)

물가가 내려가기 위해서는 실업률이 증가해야 함.

(최적의 경제 상태 X, 트레이드오프 관계)

 

임금-물가 스파이럴.

(완전 고용으로 갈수록 물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음)

 

2022년 평균 물가 목표제.

(일시적인 물가에 즉각 대응 X)

(2%를 잠깐 넘는다고 하더라도 특정 기간 동안

고압 상황이 되었을 때 금리를 올리겠다!)

 

그다음 데이터 디펜던트.

(데이터를 보고 판단, 근원 PCE)

 

'경제'는 '사회과학'으로 '자연과학'처럼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유연하게 대처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