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슈카월드] 미국의 마약 전쟁과 중남미의 비극

NASH INVESTMENT 2024. 1. 25. 14:19
반응형

수리남.

실존인물.

아시아가 아니라 남아메리카 나라.

인구 밀도가 낮은 나라.

몽골이 1등.

몽골의 우람한 사이즈.

영국인들이 이름을 명명.

가이아나, 수리남 기아나로 나뉘어있음.

(식민 지배)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수리남(1975년 독립), 프랑스령, 브라질.

수리남 정부가 드라마에 법적 조치 경고.

나르코 : 마약거래에 연류 된 사람들의 속어(요원, 범죄자).

대사관의 안전 공지.

마약으로 골치썩는 남미 국가.

1971년 마약과의 전쟁.

(50년동안 1조를 쏟아부음)

공급자들을 잡아 가두자 가격이 상승.

어떤 페널티에도 공급하고자하는 카르텔 등장.

불법적인 일 : 폭력의 필요성 + 카르텔 등장.

돈을 많이 벌고 무기를 사서 갱단 설립.

중남미의 비극.

갱단이 정치에까지 참여.

살인율이 가장 높은 대륙이 중남미와 남아프리카.

(세계평균 10배, 대한민국 100배)

전 세계 살인의 약 19%가 갱단 관련 범죄.

수요를 줄이기 시작.

수요한 자들을 감옥에 가두어버림.

(미국 교도소가 폭발해버림)

마약과의 전쟁 선포 후 수감자 추이가 폭증.

인구당 수감자수 글로벌 랭킹.

1위 압도적인 미국.

교정 시설 운영에 엄청난 돈을 쏟아붓고 있음.

1920년대 미국 금주법 시행.

미국판 갱단, 마피아의 성장.

돈을 거머쥐게 되면서 정계와 재계에 막대한 영햐이

마피아의 상징 알 카포네.

술 밀수와 테러, 암살.

근본 원인이라는 미국이라는 생각의 환산.

반미국, 핑크 타이드 현상.

(사회주의가 많음)

마약은 당연히 억제되어야하는 대상.

제도 안에서 관리?

마약을 비범죄화시키는 것을 고려.

마약과의 전쟁의 끝을 요구.

새정부는 정부가 관리 및 규제하는 코카인 시장 시작 제안.

정부가 공공시장으로 규제하면

높은 이윤도 사라지고 마약 밀매도 사라질 것이다?

가격이 비싸면 무력으로 어떻게 할 수가 없다!

코카인을 헐값으로 만들어 다른 작물의 이윤을 높이겠다!

미국은 지지하지 않음.

최대 '수요처'와 최대 '공급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