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23. 15:46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기준금리 인하.
→ 돈을 싸게 빌릴 수 있다!
→ 돈 가치 하락.
→ 유동성 확대.
기준금리 인상.
→ 돈을 비싸게 빌릴 수 있다.
→ 돈 가치 상승.
→ 유동성 축소.
돈을 더 풀고 싶은데 내릴 금리가 없다?
경제적 위기 상황을 '돈'을 풀어서 해결.
돈을 더 풀고 싶으면?
돈을 더 찍으면 됨.
무작정 머니 프린팅을 하면 휴지조각이 됨.
정부 = 돈 빌려주세요! = 채권 발행.
중앙은행 = 머니 프린팅 후 정부 채권 매입.
※ 양적완화.
대책 없이 돈을 찍는 나라와는 다름.
우리는 정부가 빌린 것! = 언젠가 갚는다!
'언제'라고는 안 했다!
유동성이 풀리니 자산 가격이 올라감.
→ 돈을 빌려서 자산을 사고 싶음.
→ 돈 가치 상승 = 금리 상승.
대출 이자 1% < 자산 상승률 5%.
너도나도 대출 → 대출 금리 상승.
돈을 빌리는 형태로 유동성 공급.
(금리 상승 시 이자 비용 감당 불가능)
천문학적인 미국 정부 부채 3 경원?
미국정부.
돈을 많이 빌려도 금리가 낮으면 이자 부담이 없음.
(GDP 대비 국채 이자 비율)
기준금리(단기물)로는 장기 금리를 막을 수 없음.
인위적으로 장기물 금리를 낮춰야 함.
더 낮은 금리로 지속적으로 빌려줘야 함.
(중앙은행이 채권 매입)
결국 양적완화.
중앙은행이 지속적으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줌.
(당연히 계속 빌려서 투자)
한국은 개인이 빚을 져줌.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한국 가계부채 규모, 증가속도 세계 최고 수준'
2008년 이후 가열하게 돈을 빌려온 대한민국.
기준금리 인하 선제적으로? 칭찬.
기준금리 인상 천천히? 욕.
조금 올리다가 문제 발생? 다시 2배만큼 인하.
자본주의의 경제적 문제.
1. 성장 감소.
2. 버블 붕괴..
문제가 발생하면 돈을 더 풀어서 필요 이상으로 해결.
(가격으로 해결)
자본주의에서 문제란?
더 많은 돈이 부족.
더더 찍으면 해결.
총 자산 가격 / 누군가.
상승 = 성장 / 정체.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카월드] 과거 일본을 따라가는 듯한 대한민국 성장률 하락? (0) | 2024.01.23 |
---|---|
[하꼰대] 뭘 해도 잘 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이 '방법' 때문입니다 (0) | 2024.01.23 |
[슈카월드] 청년의 삶(만19~34세) 실태조사 결과 발표 (0) | 2024.01.23 |
[돈깡] '사업'과 '트레이딩'의 공통점 (0) | 2024.01.23 |
[슈카월드] 사교육에 미친 나라 대한민국?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