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당신이몰랐던이야기] "이제는 정말 아무도 없어" 한국이 사라진다 눈앞으로 다가온 "지방소멸"
NASH PROPERTIES
2024. 4. 28. 13:19
반응형
지방소멸.
일본에서 시작된 용어.
저출산, 고령화, 대도시로의 인구 유출.
(극점사회+저출산)
지방소멸위험지수.
65세 이상 인구수 대비 20~39세 여성 인구 = 0.5 미만.
(소멸 단계)
대한민국의 절반이 소멸이 될 것임.
지방 대도시의 의미는 가장 큼.
대도시가 굴러가야 주변 도시들이 좋은 영향을 받음.
저출산+수도권 집중 현상.
2021년 기준 20~40세 미만 청년 인구 중
55%가 수도권에 몰려 살고 있음.
(일자리+대학)
좋은 교육, 일자리, 문화 경험.
세수도 낮아지니 악순환이 반복됨.
지방소멸 → 지역 경제 붕괴 → 청년 대상 공공서비스 질 하락
→ 청년들에게는 탈출해야 될 도시로 변함(+세금 증가)
수도권 집중화 = 경쟁이 더 어려워짐.
(땅도 제한적이니 아파트값은 상승)
인구밀도와 출생률은 역의 관계임.
반응형